곪을 대로 곪은 새누리당 ‘공천 갈등’이 끝내 터져버렸다. 공천관리위원인 황진하 사무총장과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이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독선을 문제 삼아 공천심사 활동을 중단해 버렸다. 공천관리위원장과 당의 사무총장이 대놓고 싸우는 희한한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총선을 불과 한 달 남겨 놓고 이전투구에만 골몰하는 집권여당의 모습에 할 말을 잃을 지경이다. 제 앞가림도 못 하는 이런 당에 과연 나라의 앞날을 맡겨도 좋은지 의문이 든다.
새누리당의 내부 다툼이 좋은 후보를 뽑기 위한 진통이라면 그나마 이해할 구석이 있다. 하지만 지금의 양상은 국민·당원의 뜻을 공천에 반영하는 것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단지 이한구 위원장이 청와대·친박의 의도대로 비박계를 쳐내려 한다는 의구심이 갈등의 핵심일 뿐이다. 한심하기 이를 데 없고, 퇴행도 이런 퇴행이 없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책임은 공천관리위원장인 이한구씨에게 있다. 충돌의 직접 계기는 김무성 대표 지역구를 경선 명단에 포함할지 여부였다고 한다. 황진하 총장은 대표 위상을 고려해 빨리 경선 명단에 포함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이한구 위원장이 거부했다.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 공천 심사는 맨 마지막에 하기로 정했기 때문이란 게 이유였다. 하지만 최고위원 중에서도 지명직인 이정현 의원과 원유철 원내대표 공천을 이미 확정한 걸 고려하면, 김 대표의 명단 확정을 뒤로 미룬 건 일부러 대표를 골탕먹이려는 의도라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지금 당내엔 이한구 위원장이 청와대 입김에 휘둘려 박근혜 대통령 눈 밖에 난 비박계 인사들을 쳐내려 한다는 의구심이 파다하다. 이 위원장과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이 만났다는 설이 나돌고, 친박 핵심인 윤상현 의원의 막말 파문에 대한 조처가 미지근하다는 비판도 비등한다. 윤상현 의원이 ‘김무성 대표의 공천 탈락’을 전화로 협의한 현역 의원이 누군지 밝혀내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텐데, 이런 조사는 제대로 진행되질 않는다. 그러니 모두들 이한구 위원장의 공정성을 의심하고 그를 믿지 않는다.
새누리당 공천 작업의 신뢰는 이미 땅에 떨어져 버렸다. 이한구 위원장은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게 마땅하다. 또한 대통령과 청와대는 여당 공천을 자기 뜻대로 관철하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 언제까지 진흙탕 싸움을 국민과 당원들에게 지켜보도록 할 셈인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