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단체연합 회원이 10일 체육계 성폭력 사태의 철저한 조사 등을 촉구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여당이 24일 국회에서 당정 협의를 열어, 체육계 성폭력 문제를 근절하기 위해 엘리트 선수 위주의 육성 방식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기로 했다. 고질적인 폭력의 고리를 끊기 위해선 엘리트 체육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진단은 전적으로 옳다. 문제는 이런 지적이 처음이 아니란 점이다. 국가인권위는 2010년 ‘스포츠인권 가이드라인’ 보고서에서 엘리트 육성 위주 체육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래도 현실은 달라진 게 없다. 여론을 수렴해 현실적인 방안을 내놓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강력하게 실행해 나가야 한다.
우선, 국가 주도의 ‘집단합숙 시스템’부터 개선해야 한다. 국가대표를 사실상 1년 내내 합숙시키면서 ‘좋은 성적’을 독려하는 나라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다. 이번에 ‘체육계 미투’ 운동을 촉발한 심석희씨도 주로 합숙훈련 중에 폭행을 당했다고 밝혔다. 국가가 합숙훈련을 주도하니, 각급 학교들도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선수들을 합숙시키며 체벌 등을 가하는 게 현실이다. 여기에 대회 성적에 따라 대입 혜택과 연금·병역 특혜를 주는 시스템에선, 지도자들의 선수 폭행이 손쉽게 ‘너를 위한 것’으로 포장된다.
엘리트 체육의 개혁은 수십년 누적된 체육 시스템의 근간을 바꾸는 것인 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조직적 저항도 예상된다. 그렇다고 포기하면 폭력 근절은 또다시 ‘공염불’이 될 것이다. 스포츠를 대하는 국민의 인식도 달라져야 한다. ‘올림픽 금’에만 열광하는 한, 엘리트 체육은 변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