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이재명계’ 의원 66명의 집단 서명으로 제동이 걸린 대선 경선 일정 확정 문제를 놓고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쪽은 주말에도 장외 설전을 이어갔다. 민주당 지도부는 오는 22일 의원총회를 소집해 경선 일정 문제에 대한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지난 17일 경선 일정 논의를 위한 의총 소집 요구라는 ‘불의의 일격’을 당한 이 지사 쪽은 ‘경선 연기가 대선 승리에 도움이 되는 거냐’며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 쪽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 지사를 지지하는 의원모임 ‘성공과 공정 포럼’의 공동대표인 민형배 의원은 지난 19일 페이스북에 “언론에 벌써 ‘분열’ ‘갈등’ ‘전면전’ 같은 말들이 등장한다. 경선연기 주장은 특정 진영의 수단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원내 사안이 아닌 경선 일정 문제는 의총의 권한을 벗어난다고도 지적했다. 또 다른 공동대표인 김병욱 의원도 이날 “당의 헌법인 당헌에서 규정되는 ‘상당한 사유’는 상식적으론 선거가 불가능할 정도의 무거운 사안일 때 성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선거일 전 180일 전까지 대선후보를 확정해야 한다는 당헌 규정을 어기며 일정을 조정하려면 ‘상당한 사유’가 있어야 하고 당무위원회가 이를 결정할 수 있는데,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김 의원은 “특정 후보에 유불리가 분명한 사안에 대해 과열된 논쟁을 할 경우 당의 내부가 흔들리고 대선 본선 과정에서 정권 재창출을 위한 원팀을 만들기 힘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반대쪽에서는 경선연기를 강하게 주장하며 이날도 당 지도부를 강하게 압박했다. 이낙연 캠프의 오영훈 대변인은 20일 입장문을 통해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전당대회 △경선일정과 겹치는 올림픽과 휴가일정 △야당 경선일정과의 비대칭에서 감내해야 할 리스크 △혁신적 경선방식 준비 기간 필요 등이 경선일정을 연기해야 하는 ‘상당한 사유’라고 주장했다. 오 대변인은 “당 지도부가 최소한의 ‘논의 과정’ 요구조차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결정을 내린다면 경선일정 변경의 권한이 당무위원회에 있다는 당헌과 당규를 정면으로 무시한 비민주적 의사결정임을 분명히 밝힌다”고 밝혔다. 정 전 총리 쪽은 이 지사 쪽을 겨냥했다. 조승래 캠프 대변인은 “당헌·당규에 보장된 자유로운 논의를 매도하고, 약장수, 탐욕 등 막말로 비난하고, 의총이 열리면 파국이라며 압박하고, 당헌·당규에 대한 성실한 검토 없이 지도부 권한 운운하는 현재 상황을 보면 심각한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공세 수위를 한껏 높였다.
송영길 대표는 20일 밤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의총 소집을 결정했다.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비공개 최고위 뒤 “22일 오전 의원총회를 개최해 경선일정 관련 의원들의 얘기를 충분히 듣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의총에서 경선 연기 여부를 표결하진 않는다. 경선 일정 결정은 의총의 권한이 아니기 때문이다. 고 수석대변인은 “의총에서 논의된 것을 중심으로 최고위에서 다시 경선 일정 관련 논의를 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의총을 통해 의원들의 경선일정 관련 의견을 종합한 뒤 당 지도부가 판단을 하겠다는 얘기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