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지난 10일 서울 종로구 캠프 사무실에서 지난해 9월 서해 상에서 북한군에 피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아무개씨의 아내와 형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 윤석열 캠프 제공
야권 유력 대선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11일 “현 정부의 주택정책은 시장과 싸우는 정책뿐”이라며 “청년들이 겨우 일자리를 구해도 폭등하는 집값만 바라보며 한숨만 쉬고 있다는 것은 국가 미래를 위해서도 큰 문제”라고 밝혔다. 탈원전·안보 문제에 이어, 문재인 정부의 최대 실정인 부동산 정책을 고리로 ‘반문(재인)’ 정체성을 부각하려는 모습이다.
윤 전 총장은 이날 민생투어 ‘윤석열이 듣습니다’ 세 번째 행보로 서울 종로구 자신의 캠프 사무실에서 김헌동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부동산건설개혁 본부장을 만나 현 정권의 부동산 실정에 대해 대화하며 이렇게 언급했다고 한다. 윤 전 총장은 지난달 29일 정치 참여를 선언하면서 종합부동산세 전면 재검토를 주장한 바 있다.
김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주거는 복지 차원에서 다뤄져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 들어서 25세 사회 초년생이 서울의 평균 아파트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200년이 걸리는 것으로 추산된다. 집값이 올라가는 것은 무주택자인 청년들을 약탈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고 윤 전 총장 캠프는 전했다. 이에 윤 전 총장은 “내치에서 정부가 관여할 가장 중요한 문제는 주거”라며 “주거 안정과 집값 잡기라는 것이 정부의 의지만 있다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는 시사를 받았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일정도 비공개로 진행한 뒤 4시간가량 지난 오후 3시40분께 보도자료 형식으로 공개했다. 윤 전 총장 캠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상황에 따라 비공개로 일정을 진행하게 됐다”며 “다음 주 일정도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논의 중이다. 확정된 바 없다”고 밝혔다.
윤 전 총장은 전날 같은 장소에서 지난해 9월 서해 상에서 북한군에 피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아무개씨의 아내와 형을 만나 위로하기도 했다. 윤 전 총장은 이 자리에서 “국민이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했을 때 적극적으로 나서 역할을 하고 그 과정을 소상히 밝히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 책무”라며 “이를 보여주지 못하는 정부는 정부로서 자격이 없다”고 강조했다고 캠프는 전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