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 김현정> (이재명 지사가) 이렇게 발언을 했고 그것이 조금 더 축약이 돼서 중앙일보에 실렸다, 이런 건데요.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보시는 겁니까?
◆ 이낙연> 우선은 저뿐만이 아니라 당내에서도 여러 분, 또 당 바깥의 다른 당에 소속된 정치인들도 똑같이 비판을 했죠. 그리고 그분들이 중앙일보를 보고 비판하셨을 거예요. 그런데 왜 저만 잘못했다고 하는지를 모르겠고요. 그리고 중앙일보를 보면 상식적으로 문제제기를 할 수 있게 돼 있지 않나요?
◇ 김현정> ‘딱 들으면 상식적으로 이거는 지역주의 발언이다라는 느낌이 온다’ 그 말씀이세요?
◆ 이낙연> 우선 ‘백제가 전국을’ 이런 식의 접근. 글쎄요. 저는 그게 상식적인 반응이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여러 사람이 비판했겠죠.
◇ 김현정> 그 말씀은 ‘백제, 호남이 주체가 돼서 한반도 전체를 통합한다는, 이런 지역을 언급한다는 자체, 자체부터가 지역주의가 묻어 있다’ 이렇게 보시는 걸까요?
◆ 이낙연> 아니요. 어떤 사람과 지역을 연결해서 확장력을 얘기하고 있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저는 이런 거 시시콜콜 따지고 계속 꼬리를 물고 싸우고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를 않아요. 그런 문제가 야기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김현정> 이재명 지사 측은 강하게 말을 합니다. ‘떡을 주고 뺨 맞은 격이다’ 그러니까 ‘호남 후보라 절대 안 될 거다’ 이런 의미가 아니었고 ‘이낙연 후보는 지난해 지지율이 전국 골고루 나오니까 될 거다라고 생각했었다라는 일종의 칭찬의 맥락으로 했었던 이야기라는 걸 알고 계시지 않느냐’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데요?
◆ 이낙연> 중앙일보 기자들이 인터뷰를 하고 보도를 했었는데요. 기자들이 바보는 아니지 않습니까?
◇ 김현정> 네. 그러니까 어떤 의미이실까요? 제가 지금 잘 못 알아들어서. 기자들이 바보는 아니다?
◆ 이낙연> 떡이었으면 떡이라고 보도했겠죠. 그걸 저를 자꾸 싸움으로 끌어들이지 마시고요.
◇ 김현정> ‘그러니까 떡을 주고 뺨을 맞는, 그러니까 떡을 주는 듯한 느낌이었다면 그대로 표현하지 않았겠느냐. 기사 어디에 떡이라는 게 쓰여 있느냐’ 그 말씀이실까요?
◆ 이낙연> 그렇게 못 알아들으세요? (웃음)
◇ 김현정> (웃음) 다들 알아들으시는데 저만 헷갈리는 건지 모르겠습니다마는 여하튼 그 있는 그대로 들었을 때는 이건 지역주의를 조장하는.
◆ 이낙연> 아니, 요컨대 많은 정치인들이 그 신문을 보고 비판을 했는데, 그러면 비판한 정치인들이 모두 바보이거나 그렇게 보도한 신문이 바보이거나 그런 거는 아닐 거 아니냐, 이 말씀입니다.
이슈2022 대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