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대선 선거관리위원장으로 정홍원 전 국무총리를 선임하며 최근 당내 분란 상황에 대해서도 사과했다. 이 대표가 경선 관리에서 비롯된 당내 갈등에 마침표를 찍겠다고 나섰지만 다른 대선주자들은 윤석열 캠프의 ‘지도부 흔들기’를 거듭 비판하며 윤 전 총장의 사과를 촉구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정홍원 선관위원장 선임 건을 의결했다. 이 대표는 “당내에서 존경을 받고, 무엇보다 승리의 경험을 갖고 계신 분”이라며 “공정한 경선 관리와 흥행을 위한 전권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검사 출신인 정 전 총리는 2012년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으로 당과 인연을 맺었고 박근혜 정부 땐 초대 총리로 일했다. 정 선관위원장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처음도 공정이고 나중도 공정이다. 공정이 최고의 가치”라며 “사심 없이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오는 26일 출범하며 30∼31일 대선 후보 등록을 시작으로 ‘경선 버스’에 시동을 건다.
이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선관위원장 선임을 의결한 뒤 “당 대표로서 경선을 준비하는 과정에 있었던 모든 분란과 다소간의 오해가 발생했던 데 대해 진심을 담아 국민과 당원께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라고 밝혔다. 또 “이번 선거는 많은 국민들께서 애타게 기대하시는 대로 꼭 정권교체를 이뤄내야 하는 선거”라며 “이제 선관위가 출범하는 이상 이견보다는 정권교체를 향해 모두 결집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예비후보 토론회’ ‘비대위 준비설’ 등을 놓고 형성된 ‘이준석-윤석열 대립 구도’를 해소하려는 움직임이었다.
하지만 이번엔 당내 주자들이 윤 전 총장의 직접 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당 대표를 흔들고 경선위원장을 바꾸고 경선룰을 바꾸겠다는 게 윤석열식 공정과 상식인가”라며 “캠프 인사들의 잇따른 도발에 대해 윤 후보는 본인이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 캠프의 천하람 언론특보도 논평을 내어 “윤석열 캠프가 당을 흔들고 당 대표를 흔드는 것을 모두가 보고 있는데 누구를 속이려 드는가”라면서 “윤 후보는 구태정치를 답습하려 하는가. 측근 정치, 전언 정치를 줄이고, 본인의 캠프부터 다잡기를 바란다”고 비판했다. 이에 맞서 윤 전 총장을 지지하는 모임인 ‘윤사모’는 이날 국민의힘 대구시당 앞에서 집회를 열어 이 대표 사퇴를 촉구했다.
여기에 일부 대선 주자는 홍준표 의원의 당선 가능성에 부정적 의견을 밝힌 김재원 최고위원에게 공세를 펴면서 분열 양상이 전방위적으로 이어지는 모양새다. 홍준표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진박(근혜) 감별사로 나라와 박근혜 정권을 망친 사람이 진윤(석열) 감별사로 등장해 당을 수렁에 빠뜨리고 새털처럼 가벼운 입으로 야당을 농단하고 있다. 그만 정계에서 사라졌으면 한다”고 김 최고위원을 겨냥했다. 지난 21일 김 최고위원이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홍 의원과 손잡을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을 받고 “큰일 난다. 당선 가능성이 별로다”라고 답한 것에 날을 세운 것이다. 하태경 의원도 “당선 가능성이 있네 없네, 국민과 당원들이 해야 할 후보들에 대한 평가와 판단을 왜 당 지도부가 하느냐”며 “절대 중립을 지켜야 할 당 지도부 입에서 이런 얘기가 공공연히 나오면 누가 경선의 공정성을 믿겠느냐”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김 최고위원은 “‘중립성 시비가 있게 되면 당선 가능성도 없어진다’는 취지로 ‘그러면 당선 가능성 별로다’라고 말한 것”이라며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이 있으니 해당 부분이 포함된 동영상은 비공개 처리했고, 제작사에 해당 부분 삭제를 요청했다”고 해명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