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21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크랩케이크로 점심 식사를 겸해 단독회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일 미국 백악관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 일정 중 문재인 전 대통령과의 회동 계획이 없다’고 밝힌 데 대해 “바이든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통령을) 보자고 연락온 건 분명한 사실”이라며 “미측에서 정확히 답변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의 측근인 윤 의원은 이날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문 전 대통령의 회동 계획은 애초에 잘못 알려진 것이냐’고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바이든 대통령이 보자고 연락온 건 분명한 사실이고, 미측 백악관에서 계획이 없다고 이야기한 것도 사실인 것 같다”며 “분명한 건 문재인 대통령은 가만히 계셨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애초 만남을 제안한 것도, 회동 계획이 없다고 밝힌 것도 미국 쪽이란 취지다.
바이든 대통령은 방한 마지막 날인 22일 서울에서 문 전 대통령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백악관이 18일(현지시각) 이를 부인하는 입장을 내놓으며, 그 배경을 두고 궁금증이 제기됐다.
윤 의원은 미국 쪽이 회동 의사를 철회한 이유를 두고는 “여러 가지 추측은 되지만 정보가 완벽하게 있는 게 아니어서 조심스럽다”며 말을 아꼈다. 북한 내 코로나19 확산 상황 때문에 회동이 취소되었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저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우리 국내에서 일어난 해프닝으로 봐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일각에서 제기된 문 전 대통령 대북특사 파견 가능성에 대해선 “대북특사의 주체가 대한민국 정부라면 미국이 관여할 바가 아니고 특히나 미국 대통령이 이야기할 건 더더욱 아니라 윤석열 정부가 답을 해야 되는 것”이라며 “중요한 건 지금 북한의 코로나 상황이 특사를 받을 조건은 전혀 아니라는 것”이라고 짚었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