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국현 창조한국당 공동대표(왼쪽 두번째)와 당직자들이 2일 오전 서울 영등포 당산동 당사에서 열린 ‘2008년 시무식’에서 새해 희망 구호를 외치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문국현 사당화’ 비판 핵심인사 이탈·파업 이어져
창조한국당의 ‘내홍’이 심상치 않다. 대선에 출마했던 문국현 대표는 지난 2일 기자 간담회에서 4·9 총선의 목표가 30석이라고 밝혔지만, 지금 같아서는 당의 존립을 장담하기 힘든 지경으로 치닫고 있다.
무엇보다 지난 대선을 치른 핵심 인사들이 이미 당을 떠났거나 떠날 채비를 하고 있고, 남아 있는 사람들도 좌불안석이다. 당내 유일한 현역 국회의원인 김영춘 의원은 “문 대표가 기업이나 시민단체 시절에 하던대로 (당에서도) 하려고 한다”며 대선 이후 ‘파업’중이다. 김헌태 전 정무특보, 고원 전 전략기획단장, 김갑수 대변인 등도 ‘문국현 사당화’를 지적하고, 문 대표 주변 측근 인사들의 정리를 요구하며 당사에 나오지 않고 있다.
내홍의 직접적인 발단은 대선자금의 용처를 둘러싼 논란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표의 일부 측근 인사들이,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김영춘 의원의 관리 소홀로 대선 기간에 너무 많은 비용을 썼다면서 감사를 요구했고, 문 대표가 이에 동조하며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직접 현장실사까지 하는 바람에 논란이 증폭됐다고 한다. 김 의원 등은 이 과정에서 문 대표에게 잘못된 정보를 전한 책임자로 측근 ㅈ씨를 지목하고, 문 대표에게 그를 정리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층부가 대선자금 용처 문제로 다투는 사이, 실무 당직자들은 급조 정당의 한계를 절감하거나 ‘돈 가뭄’을 못견뎌 이탈하고 있다. 문 대표 비서실과 전략기획실은 물론 유한킴벌리 직원 출신 자원봉사자들 중에서도 당을 떠난 사람이 많다.
이름 밝히기를 꺼린 한 핵심 당직자는 “대선이 끝나면 다른 당처럼 당무가 정상 가동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현실은 그게 아니다”라며 “총선이 내일 모레인데 계속 자원봉사를 하라는 것인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오는 7일 ‘소수 당직자+다수 자원봉사자’를 뼈대로 하는 당 기구 인선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여기에 담길 당직자의 규모와 인선 내용이 당의 진로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