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전대후보 정책탐구 ⑥ 권영세 의원
세종시법 수정 반대하며
친박쪽으로 바짝 다가가
세종시법 수정 반대하며
친박쪽으로 바짝 다가가
정책노선과 계파에서 모두 ‘중도’였던 권영세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를 계기로 색깔을 분명히 했다.
정책에서는 개혁적 색채를 진하게 했다. 그는 무상급식에 찬성하면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무상급식 찬반 주민 투표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아이들 밥 먹이는데 1년에 600억원 정도가 드는데 100억원을 들여서 주민투표를 하는 게 옳은지 다시 생각해야 한다”며 “전면 무상급식이 포퓰리즘이라면 초·중·고교에 대한 무상교육, 수업료 면제 등은 왜 포퓰리즘이라고 하지 않는가”라고 말했다. 법인세·소득세 추가 감세 철회에도 찬성한다. 또 경제 구조가 선순환하려면 중소기업을 키워야 한다며 중견 기업 육성을 위한 법률 제정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는 “한나라당이 보수의 가치에 충실한다는 명분으로 민생 문제를 시장이 해결할 일이라든가, 개인이 알아서 할 일이라고 놓아둔다면 국민도 당도 모두 어려워진다”며 “민생문제를 해결하려면 이른바 ‘좌클릭’해서 중도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회 정보위원장인 그는 대북 정책에서도 다른 전대 후보들과도 차별화된 유연성을 보여왔다. 권 의원은 현 정부의 대북 정책이 남북간의 경색을 불러왔다고 꾸준히 비판해왔다. 그는 “이명박 정부는 통일정책만 외칠 뿐 평화관리 정책에 소홀해 남북 경색을 불러왔다”며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멈추지 말고, 대북 특사파견을 통해 국면을 풀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2006년 전당대회에서 남경필 의원을 제치고 소장파 단일후보로 출마했지만 6위에 그친 그는 “친이와 친박이란 거대한 빙산 사이에 있는 ‘유빙’”이라고 자신의 처지를 비유하곤 했다. 그랬던 그가 이번엔 계파적으로는 친박근혜 쪽으로 바짝 다가섰다. 그는 박근혜 전 대표의 천막당사 정신을 되살리겠다고 강조한다. 충청 연설회 땐 “박 전 대표 뒤에서 칼 꽂는 자들을 앉아서 보고만 있지 않겠다”고도 했다. 세종시법 수정 반대를 주장하며 박 전 대표와 정책적 동질성을 드러낸 바 있다. 권 의원은 “박 전 대표의 철학과 가치에 공감한다”며 “완전한 친박은 아니지만 ‘호박’(好朴)은 틀림없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