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오른쪽 둘째)와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오른쪽 셋째) 등 여야 원내대표단이 15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4자 회동을 열어 세월호 침몰사고에 대한 국정조사, 5월 임시국회 일정, 19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 협의 등에 합의하기에 앞서 합의문을 돌려보고 있다. 맨 오른쪽은 새누리당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 맨 왼쪽은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새누리-새정치 원내대표 발표
19일부터 한달간 임시국회 열어
특위 등 구체적인 방식 논의
여당 일정 재검토 요구할 듯
19일부터 한달간 임시국회 열어
특위 등 구체적인 방식 논의
여당 일정 재검토 요구할 듯
여야가 오는 19일부터 임시국회를 열어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해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15일 합의했다. 야당은 세월호 유가족 대표들과 협의하면서 국회 일정을 잡고 있지만, 팽목항의 실종자 가족들은 국회 일정을 늦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는 15일 국회에서 만나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국정조사 합의 사항을 발표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번 사태에 대응하고 대한민국을 대개조하는 수준으로 여야가 합심하는 길만이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줄 수 있다는 생각에 초당적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여야는 19일부터 한 달 동안 임시국회를 개최하고, 20일 본회의에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요구서를 보고하기로 했다. 국정조사 기간과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활동 범위, 사고 현지 조사 등은 여야 합의로 결정할 예정이다. 국정조사 특위의 규모는 지난해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특위와 같은 수준인 18명 정도로 꾸려질 예정이다. 새정치연합은 본회의에 제출할 국정조사 계획서에 △침몰 원인 △현장 상황 대응(사고 접수, 보고 체계, 구조, 수습 등) △사고대책본부 구성 컨트롤타워(청와대의 기능) 부재의 문제 △수사 과정(압수수색 정보 유출 등) △청해진해운, 한국해운조합, 한국선급 등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핵심 과제를 빠짐없이 담을 예정이다.
그러나 진도에 있는 실종자 가족들은 여야가 임시국회를 열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주검 수습이 끝날 때까지 정치권 차원의 조사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실종자 가족 10여명은 이날 ‘세월호 실종자 1차 수색 결과 브리핑’이 열린 진도군청을 찾아와 “마지막 한 구의 주검이 수습될 때까지 현장 책임자들을 서울로 올려보낼 수 없다”고 했다. 이들은 “사고 관련 책임자들을 불러올려서 잘잘못을 따지는 것은 수색이 끝난 뒤에나 하라”고 요구했다. 단원고 실종 학생의 아버지는 “지금 부모들은 몹시 불안하다. 정치인들은 실종자 가족들의 마음을 헤아린다고 하는데, 지금은 국정조사를 하지 않는 게 진정으로 우리를 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여당은 이런 실종자 가족들의 뜻을 들어 국회 일정을 재검토하자고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참사의 핵심 상임위원회로 꼽히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가 16일 열리기로 돼 있었지만 해양수산부 장관, 해양경찰청 청장 및 차장 등 세월호 참사의 핵심 증인들이 모두 사고 수습을 이유로 불참 통보를 한 상태였다. 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가 지금 당장 급한 것이 아니라, 구조작업이 일단락되고 현장에서 철수해도 될 때 해도 되는데 야당이 왜 이렇게 서두르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야당은 유가족 대표들이 빠르고 철저한 국회 차원의 진상 규명을 요구하고 있는 만큼, 이들의 뜻에 맞춰 국회를 진행해 가겠다고 밝혔다. 박영선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우리 당은 현재 세월호 유가족 대책위원회와 전체 국회 일정을 논의하고 있다”며 “세월호 유족들의 뜻에 따라 국회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이분들의 뜻에 맞춰 국회 활동과 일정을 진행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록 새정치연합 수석원내부대표도 “어제 박영선 원내대표와 안산의 유가족들을 만났을 때는 빨리 그리고 철저하게 진상 규명을 해 달라는 요구를 들었다”며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를 듣고 난 이후) 유가족 대책위원회에 다시 확인했지만, 유족들은 지금 여야가 합의한 일정대로 가는 것이 맞고, 관련 장차관들이 빠짐없이 국회에 참여해 진상 규명에 협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경욱 하어영 기자, 진도/이재욱 기자 dash@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