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4번 노회찬 지원유세 5일 오후 경남 창원시 성산구 반송시장에서 함께 유세를 하던 노회찬(가운데) 정의당 후보와 문재인(오른쪽)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한 상인과 악수를 하고 있다. 창원/연합뉴스
4·13 총선 D-7 격전지 여론조사
수도권 접전지 5곳 여론조사
야권 지지자 10명중 3명
“당선 가능성 높은 후보 찍겠다”
정권심판 44% >야당심판 30%
수도권 접전지 5곳 여론조사
야권 지지자 10명중 3명
“당선 가능성 높은 후보 찍겠다”
정권심판 44% >야당심판 30%
4·13 총선에서 야권 단일화가 사실상 무산된 가운데 수도권 야권 지지자 10명 가운데 3명은 애초 지지하던 후보가 아니라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에게 표를 던지겠다는 생각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가량은 단일화가 안 되면 투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답했다. 정권 심판론은 야당 심판론보다 높은 공감을 얻었다.
<한겨레>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3~4일 서울 강서갑과 구로갑, 경기 안산단원을, 성남분당갑, 인천 남동갑 등 ‘1여다야’ 구도인 수도권 접전지 5곳의 유권자 500명씩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야권 후보를 지지한다고 응답한 유권자 가운데 33%는 ‘야권 후보들이 단일화하지 않는다면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에게 투표하겠다’고 답했다. ‘원래 지지하던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54.9%였으며 ‘투표하지 않을 수 있다’고 한 응답은 9.4%였다.
이러한 수치는 새누리당 후보와 야권 1위 후보가 치열한 접전을 벌이는 지역구에서 선거 결과를 뒤집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강서갑의 경우 구상찬 새누리당 후보는 32.3%의 지지를 얻어 29.0%를 얻은 금태섭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박빙의 승부를 벌이고 있다. 같은 지역구의 김영근 국민의당 후보와 신기남 민주당 후보가 각각 10.5%와 6.0%의 지지를 나눠 가졌는데, 김 후보 지지자의 14.6%, 신 후보 지지자의 30.2%가 ‘당선 가능성이 있는 후보에게 투표하겠다’고 답했다. 권혁세 새누리당 후보(39.7%)가 오차범위 안에서 김병관 더불어민주당 후보(32.3%)에게 앞서는 성남분당갑도 야권 지지층의 ‘몰아주기 투표’ 규모에 따라 선거 결과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김춘석 한국리서치 이사는 “될 만한 후보에게 표를 던지겠다는 33%의 응답은 꽤 규모가 있는 수치로 초접전 지역에서 충분히 1, 2위를 바꿀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야권이 후보 단일화 무산으로 치러야 할 대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5곳의 조사 결과 야권 지지자 가운데 9.4%의 응답자는 ‘단일화가 무산되면 투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답했다. 야권 지지자 10명 가운데 1명이 실제 투표를 포기할 경우 전체 총선 투표율이 다소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권 심판론은 야당 심판론보다 힘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곳 지역 전체에서 ‘경제를 위기에 빠트린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44.4%로 ‘경제 발목을 잡은 야당을 심판해야 한다’는 주장에 공감한다는 응답 30.4%보다 14%포인트나 높았다.
이번 조사는 <한겨레>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3~4일 5개 지역구별로 유권자 500명을 대상으로 유선전화 임의걸기(RDD) 전화면접 방식을 통해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누리집(nesdc.go.kr) 참조.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관련기사
▶ [바로가기] 야권 33% ‘전략투표’…초접전지 당락 뒤바꿀 결정적 변수
▶ [바로가기] 강서갑 1위 구상찬에 금태섭 3.3%p차 뜨거운 추격전
▶ [바로가기] 구로갑 2040 지지 업은 이인영 선두…김승제와 큰 격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