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주류 모임인 비상시국위원회가 4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연 총회에서 김무성 전 대표(앞줄 오른쪽 셋째)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뒷줄 왼쪽 첫째) 등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주호영·김재경·김무성·심재철·정병국 의원.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탄핵안 통과의 ‘열쇠’를 쥐고 있는 새누리당 비박근혜계가 오는 9일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표결에 참여해 찬성표를 던지기로 뜻을 모았다. ‘여야가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 일정에 합의하지 못할 경우’라는 전제가 붙었지만, 야당이 이미 ‘협상 불가’를 선언했기에 9일 탄핵안 통과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
새누리당 비박계가 주축인 비상시국위원회는 4일 국회에서 대표자·실무위원 연석회의와 총회를 잇따라 열어 난상토론을 벌인 뒤 “마지막 남은 시간까지 여야가 최선을 다해 협상에 임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 그럼에도 여야가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면 비상시국위는 9일 탄핵 표결에 조건 없이 참여해 탄핵안이 가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상시국위 대변인인 황영철 의원은 이렇게 결정한 배경에 대해 “정치권 논란과 상관없이 ‘대통령이 즉각 사퇴해야 한다’는 국민의 뜻이 한 치도 변함없다는 게 확인됐다”며 “대통령의 (퇴진 시한) 입장 표명과 관계없이 탄핵에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말 232만명에 이르는 역대 최대 규모의 촛불이 비박계의 ‘탄핵 회군’을 끌어낸 것이다.
앞서 비박계는 지난 1일 의원총회에서 ‘4월 박 대통령 퇴진, 6월 대선’ 당론 채택에 동의한 뒤 ‘대통령이 7일까지 퇴진 일정을 밝히면 탄핵을 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4일 회의에서는 촛불집회를 통해 박 대통령의 3차 담화(11월29일)와 여권발 ‘4월 퇴진론’의 역풍이 확인된데다 “탄핵안이 부결되면 비박계 모두의 정치생명이 끝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드러낸 의원이 많았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9일 탄핵안 표결’ 방침을 세운 야권은 새누리당 비박계의 이날 결정을 환영했다. 기동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탄핵 표결 참여 결정은 상식적이고 당연한 결과”라고 반겼다. 고연호 국민의당 대변인은 “국민의 뜻을 받들어 박근혜 탄핵과 즉각 완전 퇴진에 최선을 다할 것을 국민께 약속드린다”고 밝혔다. 반면 청와대와 새누리당 주류 친박계는 주말 촛불집회와 비박계의 결정에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은 채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석진환 엄지원 기자
soulfat@hani.co.kr
[언니가 보고 있다 43회_이철희가 말하는 ‘탄핵 전투’에서 이기는 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