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대 레이스 시작

(왼쪽)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1일 국회 본회의에서 손수건으로 땀을 닦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에 출마한 김부겸 전 의원이 21일 강원 태백시 황지연못에서 관광해설사의 설명을 듣고 밝게 웃고 있다. 태백/연합뉴스
‘두 개의 전선’ 마주한 이낙연 당 대표 도전 김부겸 공격받고
대선 경쟁자 이재명 복병 만나
서울·부산 무공천 발언에 경고
“벌써 왈가왈부, 현명한 일이냐” 더불어민주당 대표직에 도전한 이낙연 의원 앞엔 전선이 두개다. 당권 레이스를 펼치는 상대는 김부겸 전 의원인데, 대선 경쟁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시도 때도 없이 견제구를 던지니 페이스 조절이 쉽지 않다. 당권을 도약대 삼아 대선행 직선주로에 진입하려던 그에겐 예상치 못한 복병이다. 이낙연 의원은 21일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광역단체장 재보선까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 있다. 당내에서 (공천 여부를) 왈가왈부하는 것이 과연 현명한 일인가, 그런 생각을 한다”고 밝혔다. 전날 “내년 서울·부산시장 재보선에 당이 후보를 공천해선 안 된다”고 한 이재명 지사를 겨냥해 ‘어리석은 짓 말라’는 우회적 경고를 한 셈이다. 두 사람의 신경전은 처음이 아니다. 이 지사는 대법원 판결로 피선거권 박탈 리스크를 덜어낸 16일 이후 각종 현안에 대해 발언하면서 이 의원에 관한 언급도 빠뜨리지 않고 있다. ‘흙수저’를 자처하며 이 의원을 ‘엘리트 출신’이라 대비시키는가 하면, 전당대회에서 한쪽 편을 들지 않겠다고 하고선 라디오 인터뷰에 나와 “이 전 총리가 (당대표가) 되어도 6개월 잠깐 넘을 정도로 하는데 그게 당의 운명을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신경을 긁는다. 이 의원이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굳이 “나도 가난한 농부의, 7남매 중 장남으로 자랐다”고 한 것도 이 지사가 만든 프레임 때문이었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권과 대선 경쟁자를 동시에 상대해야 하는 이 의원으로선 처지가 난감할 것”이라고 했다. 이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의 커피숍에서 김경수 경남지사를 만나 동남권 신공항, 균형발전 뉴딜 등 경남지역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눈 뒤 정책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어 광주를 찾아 호남 민심 다잡기에 나선 그는 광주시의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당대표 재임) 기간이 짧으면 짧은 대로 책임 의식을 가지고 불꽃처럼 일하겠다”고 강조했다. 간담회 뒤엔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_______
친노·친문 공략나선 김부겸 지지층 넓히려 검찰 권력 맹공
“노 대통령 죽음 몬 것 잊지 않아”
야당 추미애 탄핵소추안 발의에
“문 대통령 국정운영에 어깃장”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김부겸 전 의원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 탄핵소추안을 발의한 야당을 겨냥해 “노무현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내몬 이들”이라고 거세게 비판했다. 친노·친문 지지층과의 정서적 일체감을 끌어올려 이낙연 의원에 견줘 열세인 당내 기반을 보완해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전 의원은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추미애 장관 탄핵소추안 즉각 철회하라’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미래통합당과 국민의당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한 것을 두고 “문재인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끊임없는 어깃장이자 검찰개혁 발목잡기”라고 비판했다. 이어 “추 장관 탄핵소추안이라니? 저의가 너무나 뻔하다. 인사 추천권을 무기 삼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출범을 가로막더니 ‘추미애 탄핵소추안’까지 꺼낸 야당은 분명히 도를 넘었다”며 탄핵안 철회를 요구했다. 검찰개혁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노 전 대통령의 죽음’도 언급했다. 김 전 의원은 “추 장관은 합법적이고 정당한 지휘를 했는데, 검찰총장이 장관에게 저항하려다 국민 여론에 밀려 마지못해 받아들였다”며 “민주적 통제를 따르지 않겠다는 검찰의 오만과 특권의식으로, 검찰개혁이 필요하단 걸 다시 보여준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노무현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몬 것이 누구냐? 결코 좌시할 수 없다”고도 했다. 앞서 김 전 의원은 지난 9일 당대표 출마 기자회견 때 사전 배포한 원고에는 없던 노 전 대통령 죽음을 언급하며 “최근 검찰 일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행동에 대해 국민은 그런 행동이 노무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는 걸 잊지 않고 있다는 경고를 드리고 싶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강원도에 이틀째 머물며 강원소방본부 등을 찾았다. 행정안전부 장관 시절 재난 대응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자신의 강점을 부각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그는 고성·속초·강릉 산불 현장을 지키다 2019년 4월6일 0시 행정안전부 장관 임기를 현장에서 마쳤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