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들의 뜻이 모아졌다고 해서 서울과 부산의 시정에 공백을 초래하고 보궐선거를 치르게 한 저희의 잘못이 면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서울, 부산 시민을 비롯한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사과를 드립니다. 피해 여성께도 거듭 사과드립니다.”
전당원 투표를 거쳐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로 한 뒤부터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연일 고개를 숙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상황에 맞지 않는 발언으로 빈축을 사고 있다.
장경태 민주당 의원은 3일 <와이티엔>(YTN) 라디오에 출연해 “윤리적 기준이 5년간 많이 강화됐다. 그렇기 때문에 이 당헌 취지 자체가 많이 사문화됐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 2명이 성범죄 혐의로 불명예 퇴진해 보궐선거까지 치러지는 상황에서 다소 엉뚱한 발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장 의원은 전당원 투표율이 26%에 그친 것과 관련해서도 “대단히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예를 들면 여론조사도 전 국민 5천만명을 대상으로 했을 때 천명만 해도 오차범위가 ±3~4%”라며 “(민주당 당원) 80만명 중 18만4천명이 참여했기 때문에 3분의 1 수준이다. 그 정도는 압도적으로 표본이 높기 때문에 충분히 당원들의 의사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는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샘플링’에 기반을 둔 여론조사와 ‘전수조사’를 표방한 투표의 개념을 뒤섞은 발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애초 민주당이 ‘당원 여론조사’가 아닌 ‘전당원 투표’를 표방한 이유는 ‘샘플링’에 의한 여론조사가 아닌 ‘전수조사’를 지향했기 때문이다. 전수조사를 지향하는 투표에서 30%에 미치지 못하는 투표율이 결과의 정당성을 흔든다는 건 상식이다. 선거 때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율 제고에 힘쓰는 이유다.
김원철 서영지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