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한국방송> ‘사사건건’에 출연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국방송> 화면 갈무리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15일 청소년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을 가급적 폭넓게 인정하려 하는 방침이라며 청소년들의 백신 접종을 독려했다.
박 수석은 이날 <한국방송> ‘사사건건’에 출연해 “학부모들의 걱정은 이해하고 있지만 과도한 걱정은 안 하셔도 좋겠다”고 당부했다. 박 수석은 “우리 나라가 피해보상이 굉장히 안 되는 나라처럼 돼 있는데 우리가 세계에서 압도적으로 (이상반응에 대해) 피해보상하는 나라다. 1위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보면 (한국에서는 코로나19 이상반응과 관련해) 2800여건을 인과관계(를 인정해) 보상했고, 그 뒤 (보상을) 많이 한 나라가 166건밖에 안 된다. 미국(은) 1건이다”라고 덧붙였다.
박 수석은 “특히 청소년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의료적으로 명백하게 인과성이 없다고 딱 떨어지는 것 빼고는 이상반응에 대한 신청이 있으면 가급적 폭넓게 인정하려고 하는 방침을 가지고 있으니 부모들은 너무 과하게 걱정하지 않으시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당정이 이날 코로나19 손실 보상과 관련해 ‘선 지원, 후 정산’ 방식을 검토하기로 한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확실하게 책임지겠다는 메시지를 분명하게 드릴 필요가 있다”며 찬성의 뜻을 밝혔다. 이를 위해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검토하느냐는 질문에는 “그 방법도 생각할 수 있는데 현재는 어떤 것도 결정된 것은 없다. 정부가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박 수석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이 포화상태에 치닫고 있다는 지적에는 “꼭 설명드리고 싶은 게 있다”며 “코로나로 인한 중환자만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일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이 평소에도 70%가 넘는 나라다. 일반 환자들을 코로나 환자가 있다고 해서 내보낼 수 없지 않느냐. 그렇기 때문에 나머지를 가지고 빠듯하게 정부는 최선을 다해서 운영을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미국의 경우는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의 퇴실 기준이 명확해 중증 환자실 회전율을 높이는 정책을 쓰는 데 반해 한국은 퇴실 명령을 않고 있는 상황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중증 환자실 회전율을 효율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부연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