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의 입사지원서 문제로 논란에 휩싸인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21일 사의를 표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김 수석의 사의를 즉시 수용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김 수석이 오늘 아침 출근하자마자 사의를 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사진은 지난 3월 4일 김진국 민정수석이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연단으로 올라서며 전임 신현수 수석과 교차하는 모습. 연합뉴스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아들 입사지원서 문제가 불거진 지 하루 만에 물러났다. 5번째 민정수석이 9개월 만에 불미스러운 일로 교체되면서 문재인 정부 민정수석 잔혹사가 이어지고 있다.
김 수석뿐만 아니라 4명의 청와대 민정수석 모두 불명예스럽게 청와대를 떠났다. 올초 ‘사의 파동’을 일으켰던 신현수 전 수석은 두달 만에 직을 내려놨다. 그는 검찰 고위직 인사를 두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갈등을 빚었고 이 과정에서 문 대통령에게 사의를 여러 차례 표한 사실이 드러났다. 청와대와 검찰이 ‘검찰 개혁’ 등을 두고 파열음을 내고 있는 상황에서 여권 내부 난맥상을 드러내며 충격을 줬다. 문 대통령이 집권 5년차를 앞두고 측근으로 꼽히던 ‘검찰 출신’ 신현수 전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을 청와대로 불러들였지만 ‘짧고 굵은’ 실패로 끝난 인사였다.
감사원 사무총장 출신인 김종호 전 민정수석도 넉달 만에 물러났다. 그는 ‘추미애-윤석열 갈등’ 국면에서 이렇다 할 역할을 하지 못하고 지난해말 교체됐다.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윤석열 검찰총장이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직무정지에 맞서 낸 집행정지신청이 기각될 거라는 보고를 하는 등 상황파악에도 실패했다. 청와대는 김종호 수석의 경질을 알리며 “최근 검찰개혁 과정에서 있었던 일련의 혼란에 대해 주무 수석으로서 책임을 지겠다는 뜻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민정수석에 비검찰 출신을 앉혀 검찰을 통제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지만, ‘잔혹하게’ 실패로 끝났다.
김조원 전 민정수석은 지난해 8월 스스로 사표를 냈다. 집값이 폭등하자 청와대 참모들은 다주택 보유 상황을 정리하기로 했으나 다주택자였던 그가 시세보다 비싸게 매물을 내놓아 ‘꼼수’를 썼다는 비판이 일던 시점이었다. 결국 아파트를 처분하지 않고 그는 자리에서 물러났다. ‘직 보다 집’을 택했다는 비아냥과 함께 ‘이중적이고 위선적인 청와대’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문재인 정부의 조국 초대 민정수석은 법무부 장관으로 영전했지만 검찰 수사를 통해 자녀 입시용 스펙 위조 등이 드러나면서 치명상을 입었다.
청와대는 21일 문 대통령이 ‘김진국 수석의 사의를 수용했다’고 밝혔지만 후임자를 발표하지는 않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후임자에 대해 “아직 논의하고 계획한 바 없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 임기가 반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후임자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