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가과학기술위·미래기획위 합동회의를 주재하려고 한승수 총리와 함께 회의실로 들어서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권력기관장=국정원장·경찰청장·국세청장
이동관 대변인 “지금은 정치개혁·법안작업이 중요”
물밑에선 인선작업 착수 …국세청장 교체 급부상 국정 2년차를 맞은 이명박 정부의 개각이 임박한 가운데, 그 시기와 폭을 놓고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설 연휴 전 개각’이라는 언론보도를 부인하면서 “굳이 얘기하면 (개각 시점은) 설 연휴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이날 ‘설 전 개각설’을 부인하는 데 강조점을 뒀지만, 그의 언급에는 청와대가 처음으로 개각 가능성을 공식 확인했다는 의미도 담겼다. 이 대변인은 “지금은 정치개혁이나 법안 정리작업 등이 더 중요한 시점”이라며 “거론되는 시점(설 전)에 개각이 이뤄질 가능성은 현재로선 없다”고 단정적으로 말했다. 이 대변인은 또 ‘개각 자리나 범위가 확정됐나’라는 질문에 “확정됐으면 왜 안 하겠나”라고 말해 아직 개각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은 이 시점까지 인사에 대해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 인사비서관실 등에서는 구체적인 인선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청와대 안에서는 현재 ‘설 전 조기개각’과 ‘설 연휴 이후 개각’이라는 두 가지 주장이 동시에 나오고 있으며, 양쪽 의견이 모두 이 대통령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이 대변인의 이날 강도높은 어조로 봐, 현재로선 ‘설 이후 개각’ 쪽으로 흐름이 잡힐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청와대 내부에 개각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을 맞는 다음 달이 확률이 더 높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 참모진과 4대 권력기관장 등을 상대로 ‘1차 교통정리’를 끝낸 뒤, 나중에 개각을 한다는 ‘단계적 개편론’도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 12일 불거진 한상률 국세청장의 ‘그림 상납 의혹’도 개각 구도에 또다른 변수로 돌출했다. 그동안 내각은 ‘5명 안팎의 중폭’, 청와대는 ‘수석 1명 내외의 소폭’, 4대 권력기관장은 국정원장, 경찰청장 교체 예상이 많았다. 그런데 한 청장 문제가 불거지면서 국세청장까지 추가 교체가 불가피해 보인다. 이런 가운데 4대 권력기관장 후보로 거론되는 김경한 법무장관(국정원장), 김석기 서울경찰청장(경찰청장), 이현동 서울국세청장(국세청장)이 모두 대구·경북(TK) 출신이라는 점도 관심거리다. 이런 구도가 현실화할 경우 ‘티케이 싹쓸이’ 논란이 불붙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 안에서도 “어차피 지역안배를 할 수 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견해들이 나온다. 해당 권력기관장 자리의 인선 구도를 바꾸든지, 아니면 후속 개각에서 티케이 인맥 배치를 줄이는 등의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물밑에선 인선작업 착수 …국세청장 교체 급부상 국정 2년차를 맞은 이명박 정부의 개각이 임박한 가운데, 그 시기와 폭을 놓고 복잡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13일 ‘설 연휴 전 개각’이라는 언론보도를 부인하면서 “굳이 얘기하면 (개각 시점은) 설 연휴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이날 ‘설 전 개각설’을 부인하는 데 강조점을 뒀지만, 그의 언급에는 청와대가 처음으로 개각 가능성을 공식 확인했다는 의미도 담겼다. 이 대변인은 “지금은 정치개혁이나 법안 정리작업 등이 더 중요한 시점”이라며 “거론되는 시점(설 전)에 개각이 이뤄질 가능성은 현재로선 없다”고 단정적으로 말했다. 이 대변인은 또 ‘개각 자리나 범위가 확정됐나’라는 질문에 “확정됐으면 왜 안 하겠나”라고 말해 아직 개각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은 이 시점까지 인사에 대해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 인사비서관실 등에서는 구체적인 인선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청와대 안에서는 현재 ‘설 전 조기개각’과 ‘설 연휴 이후 개각’이라는 두 가지 주장이 동시에 나오고 있으며, 양쪽 의견이 모두 이 대통령에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이 대변인의 이날 강도높은 어조로 봐, 현재로선 ‘설 이후 개각’ 쪽으로 흐름이 잡힐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청와대 내부에 개각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을 맞는 다음 달이 확률이 더 높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 참모진과 4대 권력기관장 등을 상대로 ‘1차 교통정리’를 끝낸 뒤, 나중에 개각을 한다는 ‘단계적 개편론’도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 12일 불거진 한상률 국세청장의 ‘그림 상납 의혹’도 개각 구도에 또다른 변수로 돌출했다. 그동안 내각은 ‘5명 안팎의 중폭’, 청와대는 ‘수석 1명 내외의 소폭’, 4대 권력기관장은 국정원장, 경찰청장 교체 예상이 많았다. 그런데 한 청장 문제가 불거지면서 국세청장까지 추가 교체가 불가피해 보인다. 이런 가운데 4대 권력기관장 후보로 거론되는 김경한 법무장관(국정원장), 김석기 서울경찰청장(경찰청장), 이현동 서울국세청장(국세청장)이 모두 대구·경북(TK) 출신이라는 점도 관심거리다. 이런 구도가 현실화할 경우 ‘티케이 싹쓸이’ 논란이 불붙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 안에서도 “어차피 지역안배를 할 수 밖에 없는 것 아니냐”는 견해들이 나온다. 해당 권력기관장 자리의 인선 구도를 바꾸든지, 아니면 후속 개각에서 티케이 인맥 배치를 줄이는 등의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