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에 따른 경기위축 여파를 점검하고 대응책을 마련하는 자리에서 “사회 불안이나 분열을 야기하는 언행들은 국민경제에 전혀 도움이 안 될 뿐 아니라 결정적으로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9일 청와대에서 열린 긴급 민생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경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심리가 아니겠는가. 이 심리가 안정돼야 비로소 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박 대통령의 발언은 이른바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에 대한 비판이 잦아들지 않는 데 대해, 이를 ‘사회분열 세력’이 주도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이런 비판이 국민을 불안하게 만들어 경기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자신의 생각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회의에서 “최근 세월호 사고 여파로 소비심리 위축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런 때일수록 국민의 일상생활과 직결되는 민생을 챙기는 일에 적극적으로 정부가 나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세월호 참사에 따른 경기위축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2분기 재정집행 규모를 7조8000억원 늘리기로 했다. 또 이번 사고로 영업에 차질을 빚고 있는 여행, 운송, 숙박 등의 업종에 대해 관광진흥개발기금, 기업은행 등을 활용해 750억원의 저리자금을 지원하고 세금 납부 기한을 연장 또는 유예해 주기로 했다.
한편, ‘분열을 야기하는 행동은 도움이 안 된다’는 박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한정애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인식에 국민들이 절망하고 있다”며 “촛불을 든 추모 인파와 억울함을 호소하는 세월호 가족들이 사회의 불안과 분열을 야기하는 세력이란 말인가. 이제는 대통령이 무슨 말을 해도 진정성을 믿을 수 없는 단계”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 대변인은 “참사의 근본 원인을 밝혀야 처방도 바로 할 수 있다. 국민적 분노를 덮는 데 급급하면 또다른 사고를 예약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석진환 기자, 세종/김소연 기자 soulfat@hani.co.kr
이슈세월호 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