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자현·우효광부부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3일 오후 중국 국빈방문 첫 일정으로 베이징 완다 소피텔 호텔에서 열린 재중국 한국인 오찬 간담회 에 참석해 배우 추자현·우효광 부부와 건배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3박4일 일정으로 중국을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사드 갈등으로 냉랭해진 한-중 관계를 복원하기 위해 두 나라가 공유하는 역사의 아픔을 전면으로 불러냈다. 때마침 이날이 중국 현대사의 비극인 일본의 난징대학살 80주년을 맞는 날이어서, 문 대통령은 재중 한국인 간담회를 비롯한 여러 자리에서 두 나라의 항일투쟁 역사와 동병상련을 거듭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베이징 소피텔호텔에서 열린 재중 한국인 간담회에서 “두 나라는 제국주의에 의한 고난도 함께 겪었고 함께 항일투쟁을 벌이며 어려운 시기를 함께 헤쳐왔다”며 “동지가 되어준 중국 인민들의 우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또 이날이 난징대학살 80주년 추모일이라는 점을 언급한 뒤, “우리 한국인들은 중국인들이 겪은 이 고통스러운 시간에 깊은 동질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열린 한-중 비즈니스 포럼에서도 “동북아도 역사를 직시하는 자세 위에서 미래의 문, 협력의 문을 더 활짝 열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를 성찰하고 아픔을 치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중의 공통 이해관계에 기반해 일본을 겨냥한 목소리임을 알 수 있다.
애초 방중외교 준비팀은, 일본을 자극할 수 있다는 이유로 문 대통령이 난징대학살에 관해 언급하지 않기를 희망했다. 그런데 문 대통령이 사흘 전 최종 원고를 검토하면서 이 대목을 넣으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또 베이징 서우두공항에서 문 대통령 일행을 영접하려던 노영민 주중 대사에겐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가 총출동한 난징대학살 80주년 추모식에 참석하라고 했다. 문 대통령이 “(추모식이) 이 나라의 중요한 국가적 행사라고 하니 대사가 직접 참석해서 뜻을 기리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문 대통령이 난징대학살을 고리로 두 나라가 공유한 일제강점기와 항일의 역사를 거론한 이유는 뚜렷해 보인다. 우선, 두 나라의 동질감을 부각시켜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도 불거져 나올 수 있는 사드 갈등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또 과거사를 직시하지 않는 일본과의 군사동맹은 없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문 대통령은 재중 한국인 간담회에 참석한 주요 독립유공자 후손을 소개하며,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을 해온 양국의 공통된 역사를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비서로 활약하신 김동진 지사의 따님 김연령님과 손자 김과님, 대한민국임시정부의원으로 활동하신 김철남 지사의 아드님 김중평님과 김정평님, 조국독립과 중국혁명에 김산이라는 이름으로 투신하신 장지락 지사의 아드님 고영광님” 등 주요 참석자를 하나하나 호명했고, “이 자리에 계신 후손 한분 한분의 가슴에는 그 어떤 훈장보다 빛나는 애국애족의 정신과 한-중 우호의 역사가 깃들어 있다”고 말했다. 400여명이 모인 간담회장에는 중국 곳곳에서 온 한인회 회장단, 한-중 우호의 상징으로 떠오른 추자현-우효광(위샤오광) 부부 등 한-중 커플 11쌍 등이 함께했다. 방중 이틀째인 14일 시진핑 국가주석 주최로 열리는 국빈만찬에는 ‘한류스타’인 배우 송혜교씨가 참석한다.
베이징/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