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청와대에서 민주노총 지도부와 간담회에 앞서 김명환 위원장과 악수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김명환 위원장 등 새 집행부가 19일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노사정 대표자 회의에 참여할 뜻을 밝혔다. 민주노총이 11년 만에 이뤄진 대통령과 집행부의 만남에서 이런 의사를 밝힘에 따라, 1999년 민주노총이 노사정위원회를 탈퇴한 뒤 19년 만에 노사정 대화가 복원될 가능성이 커졌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과 차담회를 한 뒤 보도자료를 내어 “오는 24일로 예정되어 있는 노사정 대표자 회의와 관련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양대 노총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일정을 순연하고, 이후 구체적인 협의를 통해 결정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노사정 대표자 회의는 기존 노사정위를 넘어서는 사회적 대화기구 재편을 논의하기 위해 문성현 노사정위원장이 지난 11일 제안한 대화체다. 민주노총은 노사정 대표자 회의에 대해 “취지에 공감한다”고 밝혀오다가 이날 문 대통령과의 만남을 계기로 참여 의사를 공식화했다. 다만 민주노총은 내부 의사결정 단계와 토론 등을 거쳐야 하는 만큼, 노사정 대표자 회의를 이달 안에 열긴 어렵다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민주노총과) 지향점이 일치하는 만큼 첫걸음을 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최저임금 안착이나 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민주노총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고, 이를 위한 사회적 대화의 조속한 복원과 1월 중 노사정 대표자 회의 출범 등에 대한 기대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노사정위원장 및 노동부 장관을 노동계 출신으로 임명한 것은 노동계와 함께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며 앞으로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주 만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김명환 위원장은 “민주노총 출범 이후 20년 만에 가장 진지한 기대 속에서 만나는 것은 처음이며, 일하는 사람을 위한 나라다운 나라에 대한 기대가 크다. 특히 사회 양극화 문제는 매우 심각하고 미조직·미가맹 노동자들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모든 주체들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점심에는 김주영 위원장 등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지도부 32명과 오찬을 함께 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앞에 놓인 근로시간 단축, 노동존중사회 구축 등은 노사 모두의 협력이 필요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노사정 대화를 통해 구체적인 성과를 내줄 것”을 당부했다. 이에 김주영 위원장은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산입 범위 등 노동계 현안에 대해 현장의 우려를 전하면서 “노동기본권 신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 노사정 간의 대화가 활성화돼야 일하는 사람이 존중받는 사회가 될 수 있다”고 답했다.
김보협 박태우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