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군에서 가장 큰 함선인 독도함의 2번함인 마라도함. 연합뉴스
대한민국 해군에서 가장 큰 함선인 독도함의 2번함 마라도함(LPH·기준배수량 1만4500t)이 28일 취역했다. 한국이 미 해병대 주력 수송기인 오스프리의 수직이착함이 가능한 중요한 전력을 갖추게 됨에 따라, 한-미 동맹의 ‘군사적 일체화’가 한층 더 진행됨은 물론 대만 등 한반도 주변에서 미-중 간 우발적 충돌이 발생할 경우 힘겨운 ‘전략적 선택’에 내몰리게 될 위험성도 커졌다.
부석종 해군참모총장은 이날 진해 군항에 정박 중인 마라도함 비행 갑판에서 진행된 취역식에서 “마라도함은 ‘다목적 합동전력 플랫폼’으로 독도함과 함께 한국형 경항모 건설을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라도함은 1번함인 독도함이 전력화된 지 14년 만에 취역하는 2번함으로 해군 전력 강화와 미군과의 전력 일체화 진전에 중요한 역할을 맡을 전망이다. 마라도함은 항공기 이착함 및 탑재 능력을 향상시켜 미 해병대의 최신형 수송기인 오스프리급 항공기의 수직이착함도 가능해졌다. 이는 한반도 주변인 대만 등에서 미-중 분쟁이 발생할 경우 마라도함을 기반으로 미 해병대 등에 급유·탄약·식량지원 등의 후방지원이 가능해진다는 의미를 지닌다.
마라도함은 또 문재인 정부가 2033년까지 완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한국형 경항모의 사실상의 ‘프로토타입’으로 기능하게 된다. 해군은 경항모를 마라도함보다 2배나 큰 3만t 규모로 만든 뒤, 고도의 스텔스 기능과 수직이착륙 능력을 갖춘 5세대 전투기인 F-35B를 운용할 계획이다. 이는 경항모에 미 해병대와 일본의 F-35B도 이착함할 수 있음을 뜻한다.
10월에 작전 배치되는 마라도함은 길이 199.4m, 높이 31.4m, 최대속력 시속 42㎞이고, 승조원 330명이 탑승한다. 자체 방어를 위해 수직발사형 국산 대함유도탄 방어유도탄인 ‘해궁’을 장착했다. 마라도함은 제주 해군기지에 배치돼 해군의 해외 활동 등을 담당하는 기동함대의 지휘통제함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