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유엔 레바논 평화유지군 다비드 스칼라브린 서부여단장으로부터 유엔기를 이양받고 있는 동명부대장. 부대 제공
레바논에 파병된 동명부대 25진의 부대장 등 간부 3명이 비리 혐의 등으로 임무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돼 조기 귀국하게 됐다. 해외 파병 부대 간부 세명이 비리 혐의로 조기 귀국하는 것은 전례 없는 일이다.
국방부와 합참 당국자는 19일 합참이 공금 횡령과 후원물품 개인적 사용, 음주회식 의혹 등이 제기된 동명부대 부대장 등 간부 4명에 대한 해외파병 업무 부적격 심의를 진행한 결과 부대장 등 3명이 더 이상 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돼 조기 귀국 조처를 내렸다고 밝혔다. 군은 이들에 대한 추가 조사를 벌인 뒤 기소나 징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동명부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01호에 따라 2007년 창설된 한국군의 다섯번째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부대이자 최장기 파병부대다.
앞서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의혹에 대한 질문을 받고 “합참은 관련 제보를 받은 뒤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국방부와 합참 합동조사팀을 통해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일부 내용이 사실로 확인되어 절차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다. 추가 조사를 통해 사실관계가 명확히 확인되면 관련 법규에 따라서 엄중하게 처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기 귀국이 결정된 부대장 ㄱ대령은 현지 고용된 인원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공금을 횡령하거나 후원 받은 물품을 개인적으로 사용한 혐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지난달 초 진급 대상 장교들과 함께 오후 6시30분부터 자정까지 부대 식당에서 술을 마시며 회식하고 일부 참모들과 숙소로 가서 새벽 4시까지 야식을 먹으며 국방부의 진급 발표를 기다린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조사본부와 합참 감찰실은 지난달 25일부터 3일까지 합동 감찰을 벌여 제기된 의혹 가운데 일부를 사실로 확인했다. ㄱ대령은 관련 혐의를 부인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