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가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된 국군 대장 보직을 모두 바꿨다. 정부는 25일 합동참모의장, 육해공군 참모총장, 한미연합사부사령관 등 대장급 7명의 인사 결과를 발표했다.
육해공군 작전권을 책임진 ‘군 서열 1위’ 합동참모의장에는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인 김승겸 대장(59·육사 42기)이 내정됐다. 김 내정자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하면 합참의장직을 수행하게 된다.
정부는 이날 육해공군 참모총장 인사도 했다. 육군참모총장에 박정환(육사 44기) 합참차장, 해군참모총장에 이종호(해사 42기)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공군참모총장에 정상화(공사 36기) 합참 전략기획본부장을 임명했다.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에 안병석(육사 45기) 육군참모차장, 지상작전사령관에 전동진(육사 45기) 합참 작전본부장, 제2작전사령관에 신희현(학군 27기) 3군단장을 각각 임명했다. 이들은 26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윤 대통령이 임명할 예정이다. 중장급인 군사안보지원사령관에는 황유성 소장을 대리 보직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인사를 두고 “역량과 전문성을 우선 고려했고,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지휘체계의 안정적 확립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군 안팎에서 임기가 남았는데도 문재인 정부에서 일했던 대장 7명을 모두 내보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군 인사법에는 합참의장, 각 군 참모총장 임기는 2년이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 10명은 이날 성명을 내어 “임기가 1년 넘게 남은 해군참모총장과 공군참모총장을 교체했다. 임기가 5개월 남은 합참의장과 육군참모총장을 교체했다”며 “임기와 관계없이 대장급 장성 인사를 일괄적으로 교체하는 것은 이전 정부의 인사를 모조리 부정하고 정부 입맛에 맞는 인사만을 중용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검찰에 이어 군까지 편 가르기를 지속해 권력을 사유화하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날 내정된 육군 대장 5명 가운데 4명이 육사 출신인 점도 문재인 정부와 달라진 점이다. 합참의장에 육사 출신이 내정된 것은 9년 만이다. 문재인 정부는 육군과 육사가 독점해온 군 구조를 바꾸려고 장성 인사에서 ‘비육군 비육사’ 출신을 발탁했다. 지난해 12월 육군 준장 진급자 52명 가운데 비육사 출신이 18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 2020년 9월에는 1969년 이후 줄곧 육사 출신이 맡던 육군참모총장에 학군(ROTC) 출신인 남영신 대장을 임명했다.
이날 정부는 대장 내정자 7명의 출신 지역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군 안팎의 설명을 종합하면, 영남 4명, 서울 1명, 호남 1명, 충청 1명이다.
정부는 이번 대장 인사를 기수나 출신(사관학교 여부), 지역을 안배하지 않고 전문성과 능력 위주로 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내각을 꾸릴 때도 비슷한 설명을 했는데, 결국 서울대-50대-남성을 뜻하는 ‘서오남’ 내각이 됐다. 윤석열 정부의 군 지휘부도 육군-육사-영남 출신 ‘육육영’ 대장으로 채워졌다.
권혁철 기자
nur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