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며 “(지난)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진행했다”고 19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이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발표했다고 19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이르면 내년 ‘태양절’(4월15일, 김일성 탄생 기념일)이나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기념일(4월25일) 즈음에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쏘아올리겠다는 예고다. 군사정찰위성 발사가 실현되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어떠한 발사도 금지한다’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결의 위반에 해당돼, ‘강 대 강 대치’가 이어지며 한·미와 북쪽의 갈등은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진행했다”며 “시험은 위성시험품을 운반체에 탑재해 고도 500킬로미터까지 고각발사시킨 뒤 지상관제의 믿음성을 확증하며 자료전송장치들의 처리 능력과 안전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노동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위성시험품”에는 “20미터 분해능 시험용 전색 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르 촬영기 2대, 영상송신기와 각 대역의 송수신기 등을 설치”했다며, 서울과 인천 지역이 찍힌 위성사진 2장을 함께 공개했다. 아울러 신문은 “국가우주개발국은 정찰위성 발사의 최종 관문 공정을 거친 것이라 밝혔다”며 “시험 결과는 즉시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에 보고됐다”고 보도했다. 전날 쏘아올린 준중거리 탄도미사일(MRBM)이 정찰위성 시험용이었음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이 현장에 있었는지 신문은 따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김 총비서는 지난해 1월 노동당 8차 대회에서 “가까운 기간 내 군사정찰위성 운용”을 “최중대(가장 중요한) 연구사업”으로 제시한 바 있다. 김 총비서는 이달 하순에 소집이 예고된 노동당 중앙위 8기 6차 전원회의에서 정찰위성 관련 계획을 좀 더 구체적으로 밝힐 듯하다.
이에 대해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어제(18일) 발사한 것은 준중거리 탄도미사일이라는 한·미 정보당국의 평가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조중훈 통일부 대변인은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역내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중대 도발로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며 “(지난) 18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 단계의 중요 시험을 진행했다”고 19일 <노동신문>이 보도했다. 노동신문에 함께 공개된 서울과 인천 지역이 찍힌 위성사진 2장.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전직 정부 고위관계자는 “한·미의 정책 기조가 달라지지 않는 한 북쪽이 먼저 대화·협상을 제안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낮다”며 “당장은 남과 북 사이에 우발적 군사적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정부가 평화 관리 책무에 최선을 다하는 데서부터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