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측 수석대표 합의…미·일,도쿄서 ‘대북 금융제재’ 논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 이후 북한의 6자 회담 복귀 전망이 더 불투명한 것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은 북한이 회담에 계속 응하지 않으면 북한을 제외한 5자 회담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미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천영우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17일(현지시각) 워싱턴의 한 식당에서 오찬을 겸한 회담을 연 뒤 기자들과 만나, 장기간 6자 회담이 열리지 못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5자 회담 추진을 합의했다고 밝혔다.
천 본부장은 “5자 회담이 열리더라도 대북 제재를 논의하는 게 아니라, 9·19 공동성명 이행 방안과 관련해 6자 회담의 조직·운영 개선안 등이 자연스럽게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5자 회담 개최의 관건인 중국의 동의 여부에 대해선, “중국도 조금 융통성이 생긴 것 같다”며 “계속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힐 차관보도 “6자가 5자보다 낫지만, 5자도 안하는 것보다 낫다”며 “우리가 하고자 하는 바는 외교적 과정을 강화하고 북한을 외교적 과정에 복귀시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5자 회담에 관한 논의는 다음주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의 한·중·일 순방과 아세안지역포럼 회의를 계기로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무현 대통령은 19일 오전 안보관계장관회의를 열어 북한 미사일 발사와 안보리 대북 결의 후속 대책을 논의한다. 정태호 청와대 대변인은 “정부 입장은 대화를 통한 해결이고, 여러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5자 회담도 한 방안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과 일본은 20일 도쿄에서 공동으로 단행할 대북 금융제재 방안을 협의한다. 19일 방일하는 스튜어트 리비 미국 재무부 테러·금융정보담당 차관과 일본 정부 관계자들은 대북 송금 금지와 자산 동결 등의 제재를 두 나라만 단행했을 때 어떤 효과를 거둘 수 있을지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두 나라는 금융제재를 결정하면 다른 나라에도 협력을 요구한다는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국외에서 소유한 금융자산과 송금 실태 파악에 나섰다. 다니가키 사다카즈 재무상은 18일 기자회견에서 대북 금융제재에 대해 “되도록 신속히 실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도쿄/류재훈 박중언 특파원, 신승근 기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