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민간모금 합쳐…세부 품목·북송 시기 협의
정부는 북한의 수해 복구를 돕는 긴급 구호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민간 대북지원 단체에는 혼합기금(매칭펀드) 방식으로 100억원 가량을, 대한적십자사 채널을 통해서는 쌀과 복구장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11일 오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한명숙 총리와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위 당정 정책조정회의를 연 뒤, 대북지원 민·관 정책협의회 제5차 전체회의를 열어 이런 지원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민간 대북지원 단체는 자체적으로 계획한 98억6천만원 가량의 구호품과 정부 지원금 100억원을 합쳐 의약품과 생활필수품, 기초 복구장비 등 200억원 가량의 물자를 북송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한적도 정부와 구체적인 규모·품목·시기를 협의한 뒤, 북한과 의견 교환을 거쳐 18일까지 최종적인 세부 지원 방안을 마련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신언상 통일부 차관은 이날 “정부는 북한 수해의 심각성, 정치권 및 각계각층의 지원 요청 등을 감안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 수해 긴급구호 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신 차관은 이어 “이번 지원은 2004년 범국민적 차원에서 추진된 북한 용천 피해복구 지원과 같이 순수한 인도적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6·15 공동선언 실천 북쪽위원회는 이날 금강산에서 열린 남쪽위원회와의 실무협의에서 지원 의사를 표명한 남쪽 민간단체들에 고마움을 표시한 뒤, “민간단체 창구로 모이는 구호 지원에 대해서는 정부가 출연한 것이든, 적십자사가 출연한 것이든 상관없이 받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남쪽위원회 핵심 관계자가 밝혔다. 북쪽위는 또 정부나 한적을 통한 직접 지원에 대해서는, “우리는 민간대표로 나왔기 때문에 해당 단위(당국이나 적십자)에서 제기할 문제”라고 말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한편, 정부는 국내의 태풍 및 호우 피해 복구에 3조5천억~4조원이 들고, 이 가운데 국고 부담액이 2조5천억~2조9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재해대책 예비비 1조1천억원 외에 부족한 복구비 1조4천억~1조8천억원과 예비비 추가분 5천억원 등 모두 1조9천억~2조3천억원 수준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할 방침이다. 이용인 이지은 기자 yyi@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