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IAEA의 만남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오른쪽)이 23일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과 만난 뒤 이 기구 회의실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반 사무총장은 오스트리아 빈을 사흘간 공식방문했다. 빈/AFP 연합
북-미, 테러지원국 해제등 의제 다룰듯
4개 분야 실무협상도 내달 줄줄이 예고
4개 분야 실무협상도 내달 줄줄이 예고
6자 회담 ‘2·13합의’ 이행을 위한 행보가 바빠지고 있다. 다음달 5일 북한과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간 북-미 관계정상화 워킹그룹 회동을 시작으로 북-미 협상이 본격화하는데 이어 다른 워킹그룹 협상도 줄을 잇게 될 전망이다.
김 부상의 뉴욕 방문은 지난번 6자 회담 직후 힐 차관보가 초청한 것도 있지만, 북-미 관계정상화와 적대관계 청산에 대한 북쪽의 각별한 관심을 반영한 것이다. 이번 협의는 김 부상과 힐 차관보가 수석대표를 맡아 사흘 정도 진행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북쪽의 미국통인 한성렬 전 유엔대표부 차석 대사가 지난주부터 뉴욕에 머물며 미 국무부 쪽과 사전정지작업을 계속해 온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김 부상은 7명의 대표단을 이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회동 결과와 2·13 합의 이행 상황에 따라서는 북-미 관계정상화를 위한 양쪽의 협의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베를린 회동을 통해 북-미 양자접촉의 걸림돌이 제거된 마당에, 북-미간 상호신뢰의 단계적 구축 수순으로 다음 6자회담 이후 힐 차관보가 평양을 ‘답방’하는 것도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다.
이번 북-미 협의에선 양쪽 주장이 엇갈리는 고농축우라늄(HEU) 문제를 포함한 북쪽의 핵프로그램 신고와 관련한 협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북쪽이 각별한 관심을 갖고 있고 이미 베를린 회동 때부터 ‘합의’한, △북한의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 △대적성국무역법 적용의 종료 문제에 대한 협의 시작이 중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북-미간에는 1994년 제네바합의 후속조처로 상호 연락사무소 개설 문제가 논의된 적이 있고, 2000년 10월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의 워싱턴 방문과 매들린 올브라이트 당시 미국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과 같은 고위급의 교차방문으로 관계정상화 협상의 문턱에 근접한 적이 있다.
특히 이번 북-미 협의에 앞서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3월2일 워싱턴에서 열릴 한-미 외무장관회담에서 2·13 합의의 세부적 이행을 위한 로드맵 마련 등 한-미간 사전조율을 할 것으로 예상돼, 북-미관계 정상화 협상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독립적이지만 상호조율된 방식’으로 진행될 5개 워킹그룹 가운데 북-미 정상화 실무그룹이 첫 회동의 물꼬를 열게 되면, 다음달 19일 6차 6자 회담 개막에 앞서 북-일 관계정상화 및 한반도비핵화(의장국 중국), 경제·에너지 협력(의장국 한국), 동북아 평화·안보체제(의장국 러시아) 등 워킹그룹 관련 협의도 잇따라 열릴 전망이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