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올해 안에라도 핵프로그램 신고와 핵시설 불능화를 이행할 의지를 밝혔다.
천영우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8일 베이징 조어대에서 6자 회담 수석대표 회의를 마친 뒤, “북한이 최단 시일 안에 신고와 불능화를 이행할 의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방사능 오염 등) 안전상의 문제가 없다면, 5~6개월 안에라도 이를 이행할 수 있다고 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북한이 올 연말을 신고와 불능화 완료 시한으로 설정하자는 데 특별히 반대하지 않았다”며 “다만 그러려면 기술적인 문제를 알아봐야 한다는 태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천 본부장은 또 “김계관 북한 외무성 부상은 (전날 미국과) 양자 협의에서 모든 핵프로그램을 빠짐없이 신고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했다”며 “신고 범위에 이견이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핵무기라는 게 있다면 신고 대상에 포함된다고 다 해석하고 있다”며 “핵무기든 핵폭발 장치든 북한이 갖고 있는 것은 다 집어넣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17일 김 부상과 5개 실무그룹 회의 일정을 협의했다”고 밝혀, 불능화 등 2·13 합의 2단계 조처 이행 방안 협의 방식 및 일정을 조율했음을 내비쳤다. 그는 “19일 오후 의장성명을 낼 수 있을 것 같다”며 “의장성명엔 불능화 신고를 포함한 다음 단계 조처 이행 등에 대한 대강의 시간 계획이 담기게 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시작한 6자 회담에서 수석대표들은 북핵 신고 및 불능화 등 2·13 합의 2단계 조처를 신속히 이행하는 문제를 집중 협의했다. 북한은 중유 95만t 상당의 에너지 제공과 관련해, 중유 등 여러 에너지를 섞어서 줘도 좋다는 견해를 밝혔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박선원 청와대 안보전략비서관이 오늘(18일) 베이징 회담 대표단에 합류했고, 잘 풀리면 회담이 좀 길어질 수도 있다”고 밝혀, 이번 회담에서 구체적 성과가 나올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남북은 이날 오전 양자협의를 1시간 남짓 벌였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이제훈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