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양호 관리위원장 문답
구체적 협상내용은 말 못해
공단 정상화 향후 협의할것
구체적 협상내용은 말 못해
공단 정상화 향후 협의할것
3일 오후 6시30분. 홍양호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장 등 개성공단에 마지막까지 남아 있던 우리 쪽 잔류 인원 7명이 4대의 차량에 나눠 타고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공단의 통신 운영을 책임지던 케이티(KT) 직원 2명을 태운 승합차는 천장까지 짐을 가득 실은 모습이었다.
잠시 후 경기도 파주시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CIQ) 입경 출구를 통해 모습을 드러낸 홍 위원장은 “국민 여러분들께서 염려해 주신 덕분에 체류 인원 전원이 무사히 귀환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협상 내용에 대해선 “이 자리에서 구체적으로 말씀을 드리기 힘들다”며 즉답을 피했다.
홍 위원장 등은 지난달 29일 마지막까지 공단에 남아 있던 잔류 인원 50명 가운데 43명을 귀환시킨 뒤 현장에 남아 닷새 동안 3월 미지급 임금, 통신료, 기업 소득세 등의 지급을 둘러싸고 박철수 북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과 협상을 진행해 왔다. 북쪽은 실무협의 과정에서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의 3월치 임금 730만달러, 2012년도 기업 소득세 400만달러, 통신료와 폐기물 처리비 등 기타 수수료 170만달러 등 총 1300만달러를 지급할 것을 주장했다. 북쪽은 4월치 임금 120만달러도 지급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우리 쪽은 이를 수용하지 않고 추후 협의하기로 했다.
협상 과정에서 우리 쪽은 입주 기업들이 현장에 두고 나온 원부자재와 완성품을 가지고 나오게 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홍 위원장이 빈손으로 귀환한 것에서 볼 수 있듯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홍 위원장은 “공단의 정상화에 대해 북쪽에 얘기를 했고, 향후 여러 채널을 통해 협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해 앞으로도 북한과 공단 정상화를 둘러싼 협의가 지속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현장에 남은 우리 기업들의 투자 자산에 대해선 “개별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안전장치를 해놓고 나왔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정부는 우리 인원의 현지 체류가 길어지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남북협력기금에서 북한이 요구하는 금액을 만들어 전달한 뒤 조기 귀환을 선택했다”고 말했다. 김호년 관리위 부위원장 등 5명은 정부의 이런 결정에 따라 홍 위원장 일행이 귀환하기에 앞서 현금 수송차량 2대에 나눠 타고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쪽에 현금 1300만달러를 전달했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천안함 프로젝트, 국방부는 왜 태클을 걸까요
■ 재벌 회장 등 52명 총출동…이건희, 10년만에 동행
■ 허영만의 마지막 베팅
■ ‘도덕군자’ 공자도 쾌락주의자였다
■ 명성황후 무덤에 전화기 설치한 까닭
■ 천안함 프로젝트, 국방부는 왜 태클을 걸까요
■ 재벌 회장 등 52명 총출동…이건희, 10년만에 동행
■ 허영만의 마지막 베팅
■ ‘도덕군자’ 공자도 쾌락주의자였다
■ 명성황후 무덤에 전화기 설치한 까닭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