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미 대북정책 안바뀔 것
북 도발 가능성 등 중국과 논의”
북 도발 가능성 등 중국과 논의”
미국 정부는 장성택 전 조선노동당 행정부장의 처형은 ‘불길한 신호’라며, 북한 김정은 체제가 핵무기를 갖는 것은 이제 더욱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15일(현지시각) 미국 <에이비시>(ABC) 텔레비전과 한 인터뷰에서, “장성택의 처형은 핵무기 보유를 추진하는 나라의 불안정성에 대한 염려를 키우는 불길한 신호”라면서 “김정은과 같은 사람이 핵무기를 갖게 되는 것은 이제 더욱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고 <아에프페>(AFP) 통신이 전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의 베트남 방문을 수행 중인 국무부 고위당국자도 14일 전용기 안에서 한 브리핑에서 “이번 처형은 북한을 강력하고 번영된 국가로 만들겠다는 김정은의 목표를 성취하는 데 좋은 전조가 되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장성택에 대해 무역과 투자 분야에서 북한이 갖고 있는 전문성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이어 “장성택의 처형은 (김정은 체제의) 힘을 보여준 게 아니라 잔인성을 보여준 것”이라며 “이는 단순한 축출이 아니라 공개적으로 고위 당국자를 처형시킨 결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의 2인자이고,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충성으로 보필했고, 김정일 사후 김정은의 권력승계를 도왔던 인물에 대한 이런 결정은 놀랍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장성택 처형의 배경과 향후 전망 등에 대해서는 “추측의 문제일 뿐”이라면서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마리 하프 미 국무부 부대변인도 이에 앞서 13일 이번 사건이 대북정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묻는 질문에 “미국의 핵심 대북 정책은 바뀐 게 없으며 북한의 비핵화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해 한국, 일본 등 동맹국뿐 아니라 북핵 6자회담 당사국인 중국, 러시아 등과의 협력을 유지·강화하는 동시에 현 상황을 평가하고 논의 진전 방안을 강구하는 데 초점을 맞춰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내부 정책 결정이나 특정 사건의 동기 등에 대해서는 추측이나 분석을 내놓지 않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번 사건이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잔학 행위이고 세상에서 최악인 북한의 인권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