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들이 6일 낮 12시30분(북한시각 낮 12시) 평양 외곽 평양역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을 통해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는 <조선중앙텔레비전> 발표를 지켜보며 손을 흔들어 환호하고 있다. 평양/AP 연합뉴스
과거와 다른점
1~3차 국제 제재 반발용
이번엔 ‘핵 과시용’ 무게
1~3차 국제 제재 반발용
이번엔 ‘핵 과시용’ 무게
북한의 이번 핵실험은 과거 핵실험 때와 다른 점이 많다. 북한은 1·2·3차 핵실험 때 미리 핵실험을 예고했다. 2006년 10월9일 1차 핵실험 때는 엿새 전에 외무성 성명을 통해 “안전성이 철저히 담보된 핵시험을 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2009년 5월25일 2차 핵실험 때도 한달 전에 ‘핵시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시험’을 예고하는 외무성 성명을 내보냈다. 2013년 2월12일 3차 핵실험 때도 외무성이 ‘임의의 물리적 대응조치’를 언급하며 미리 핵실험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번엔 사실상 예고 없이 기습적으로 핵실험을 했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지난달 10일 “핵탄, 수소탄의 거대한 폭음을 울릴 수 있는 강대한 핵보유국”을 언급했지만, 정부와 국제사회는 이를 핵실험 예고로 받아들이진 않았다.
과거 실험은 국제사회의 제재 조치에 대한 반발 성격이 컸지만 이번에는 그런 점이 분명하지 않다. 또 ‘장거리로켓 시험발사 뒤 핵실험’이라는 1·2·3차 핵실험 공식이 이번에는 적용되지 않은 것도 과거와 다른 점이다. 로켓 발사 없는 ‘단독 핵실험’이 북한의 핵정책 변화를 예고하는 것인지 주목된다.
2006년 1차 실험 때는 미국의 방코델타아시아(BDA) 제재 조치가 빌미가 됐다. 2009년 2차 때도 6자회담에서 비핵화 검증 방안을 둘러싸고 갈등을 빚자 4월 먼저 장거리로켓을 발사한 뒤 한달 만에 핵실험을 했다. 2013년 3차 핵실험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1주기를 기념한 장거리로켓 발사가 계기가 됐다. 유엔 안보리가 곧바로 제재 결의안 2087호를 채택하자 이를 빌미로 핵실험을 강행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