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7일 오전 9시 30분께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장거리 로켓(미사일)을 발사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오키나와 지방 상공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비해 일본 정부가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에 배치한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 (이시가키 AFP=연합뉴스)
일 정부 “북 로켓 궤도” 지자체·언론사 등에 통보
낙하물 4개 바다 떨어져…파괴조처는 나서지 않아
낙하물 4개 바다 떨어져…파괴조처는 나서지 않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대해 한국을 제외한 주변국 중에서는 일본 정부가 가장 먼저 반응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7일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직후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이날 북한이 장거리미사일을 발사했으며 이 미사일이 오키나와 상공을 통과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국순간경보시스템을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와 언론사 등에 통보했다.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은 일본 정부 발표를 인용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의 낙하물 4개가 바다에 떨어졌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 발표를 보면, 첫 번째 낙하물은 오전 9시37분 북한 서쪽 150㎞ 공해에, 두 번째 낙하물은 오전 9시39분 한반도 남서쪽 약 250㎞ 지점 동중국해 해상에 각각 떨어졌으며, 세 번째 낙하물은 오전 9시45분 일본 남쪽 약 2000㎞ 지점 태평양에 떨어졌다. 일본 정부는 북한이 이날 오전 9시31분께 서쪽 해안에서 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일본 자위대는 북한 발사 로켓에 대해 패트리엇((PAC3) 미사일 등의 대응 발사를 통한 파괴조처에 나서지는 않았다.
미국 당국자들은 북한의 로켓 발사에 대해 “당장 미국과 동맹에 대한 위협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로이터> 통신은 미국의 한 당국자가 “북한에서의 로켓 발사를 추적해 확인했다”며 당장은 미국과 동맹에 위험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상황을 계속 지켜볼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시엔엔>(CNN) 방송은 북한의 로켓 발사를 보도하면서 “전문가들은 탄도 미사일 실험으로 의심하고 있다”는 자막을 내보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외신 보도를 인용해 북한이 “지구 관측 위성을발사했다”고 전한 데 이어, 한국 언론 보도를 인용해 “북한이 로켓을 발사했다”고 전했다.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도 일본 정부 발표 등을 인용해 북한이 “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발사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독일 <데페아>(DPA) 통신 등 여러 외국 매체가 서울발로 이 소식을 타전했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관련 기사]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군 궤적 추적 중
외교부, ‘안보리 긴급소집 요청’ 주유엔대표부에 지시
박 대통령, 긴급 NSC 소집…북 로켓 대응방안 논의
국토부·해수부 “페어링 떨어지는 지점 항공기·선박피해 없었다”
미 상원, 대북제재법안 10일 처리할 듯
북한이 7일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했다. 북한은 지난 2일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에 오는 8∼25일에 지구관측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밝혔고 위성 이름이 ‘광명성‘이라고 통보했다. 사진은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2012년 12월 12일 보도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발사되고 있는 북한 장거리 로켓 은하3호. 2016.2.7 연합뉴스
[관련 기사]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군 궤적 추적 중
외교부, ‘안보리 긴급소집 요청’ 주유엔대표부에 지시
박 대통령, 긴급 NSC 소집…북 로켓 대응방안 논의
국토부·해수부 “페어링 떨어지는 지점 항공기·선박피해 없었다”
미 상원, 대북제재법안 10일 처리할 듯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