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장거리미사일 기술 중간분석
북한이 7일 발사한 장거리 로켓은 2012년 12월 발사한 은하 3호와 성능과 제원 등이 비슷한 것으로 잠정 분석됐다. 이번 로켓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로 전용될 경우 최대 사거리도 1만~1만2000㎞로, 3년 전과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방부와 국방과학연구소(ADD)는 9일 발표한 ‘북한 장거리미사일 기술 중간분석’ 결과에서 “2012년 12월 발사된 ‘은하-3호’와 이번 미사일이 동체의 직경:길이 비율에서 2.4:30으로 같고, 1, 2단 추진체 및 페어링의 낙하 지역이 비슷하다”며 이렇게 밝혔다. 이번에 발사된 북한의 장거리 로켓은 1단 추진체가 동창리 발사장에서 410㎞ 떨어진 태안반도 서해상에 낙하했으며, 페어링은 740㎞ 떨어진 제주 서남쪽 해상, 2단 추진체는 2380㎞ 떨어진 필리핀 루손섬 동쪽 해상에 낙하했다.
북한은 지난해 발사대를 50m에서 67m로 높이는 등 발사장을 증·개축했다. 또 북한이 기존 로켓보다 추력이 더 큰 새 엔진을 개발하기 위해 이란과 기술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는 외신보도도 나왔다. 이런 사정에 비춰 북한이 이번에 기존의 은하 3호보다 더 성능이 우수한 로켓을 발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이번 로켓 엔진이 2012년 12월 은하-3호와 비슷한 성능인 것으로 분석되면서 그동안 북한 로켓 기술에서 특별한 발전이 없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방부 당국자는 “북한이 2012년 12월 로켓을 쏠 때는 로켓 운반체는 ‘은하-3호’, 탑재된 위성은 ‘광명성 3호’라고 분명히 밝혔으나 이번에는 로켓 운반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그냥 ‘광명성 4호’라고만 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사용된 로켓이 사실상 ‘은하-3호’일 가능성을 시사한 대목이다.
두번 내리 궤도진입 성공
기술 안정성·신뢰성 높아진듯 ICBM 전용때 최대사거리 1만2천km
뉴욕·워싱턴 등 미 동부 사정권
대기권 재진입 기술 확보 못한 듯 다만 로켓에 탑재된 위성의 무게가 좀더 무거워졌을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정보원은 앞서 7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탑재체의 중량이 2012년 12월의 두 배인 200㎏ 내외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는 “북한이 2012년 12월 쏘아 올린 위성이 100㎏이었으나 당시 실제 발사 능력은 200~250㎏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번에는 그 실제 능력에 맞게 위성을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두 번 연속으로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킴에 따라 기술의 안정성과 신뢰성은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2012년 12월 발사된 ‘은하-3호’의 1단 추진체는 추력 120t이었다. 추력 27t짜리 노동미사일 4개와 추력 3t짜리 보조엔진 4개를 묶어 추진체로 사용했다.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는 “이번에도 그때와 동일한 추력을 사용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북한이 2012년 12월과 이번에 발사한 120t 추력의 로켓 엔진을 탄도미사일에 적용하면 미국 본토까지 날아갈 수 있을 것으로 국방부는 분석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분석 결과, 북한의 노동미사일과 같이 무게 650㎏의 탄두를 장착하면 사거리가 1만㎞에 이르며, 무게 500㎏의 탄두를 장착하면 사거리 1만2천㎞의 탄도미사일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사거리 1만2천㎞면 뉴욕, 워싱턴 등 미국 동부의 주요도시들이 사정권에 들어간다. 그러나 군 당국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 제작에 필수적인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했을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국방부는 또 북한이 쏘아올린 광명성 4호가 발사 뒤 9분 26초(북한 발표 발사후 9분46초)에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발사에서 1단 추진체가 270여개 파편으로 낙하한 것과 관련해 북한이 추진체 회수 방지를 위해 자폭장치로 폭파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제주 서남해상에 떨어진 페어링은 군 당국에 의해 회수돼 정밀 분석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광명성 4호는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데 94.1분이 걸리며 하루 4차례 한반도 상공을 비행한다. 군 당국자는 “광명성 4호가 궤도에는 진입했지만 안정적으로 궤도를 유지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suh@hani.co.kr
기술 안정성·신뢰성 높아진듯 ICBM 전용때 최대사거리 1만2천km
뉴욕·워싱턴 등 미 동부 사정권
대기권 재진입 기술 확보 못한 듯 다만 로켓에 탑재된 위성의 무게가 좀더 무거워졌을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정보원은 앞서 7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탑재체의 중량이 2012년 12월의 두 배인 200㎏ 내외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는 “북한이 2012년 12월 쏘아 올린 위성이 100㎏이었으나 당시 실제 발사 능력은 200~250㎏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번에는 그 실제 능력에 맞게 위성을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두 번 연속으로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킴에 따라 기술의 안정성과 신뢰성은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2012년 12월 발사된 ‘은하-3호’의 1단 추진체는 추력 120t이었다. 추력 27t짜리 노동미사일 4개와 추력 3t짜리 보조엔진 4개를 묶어 추진체로 사용했다. 국방과학연구소 관계자는 “이번에도 그때와 동일한 추력을 사용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북한이 2012년 12월과 이번에 발사한 120t 추력의 로켓 엔진을 탄도미사일에 적용하면 미국 본토까지 날아갈 수 있을 것으로 국방부는 분석했다. 국방부 당국자는 “분석 결과, 북한의 노동미사일과 같이 무게 650㎏의 탄두를 장착하면 사거리가 1만㎞에 이르며, 무게 500㎏의 탄두를 장착하면 사거리 1만2천㎞의 탄도미사일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사거리 1만2천㎞면 뉴욕, 워싱턴 등 미국 동부의 주요도시들이 사정권에 들어간다. 그러나 군 당국은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 제작에 필수적인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했을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국방부는 또 북한이 쏘아올린 광명성 4호가 발사 뒤 9분 26초(북한 발표 발사후 9분46초)에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발사에서 1단 추진체가 270여개 파편으로 낙하한 것과 관련해 북한이 추진체 회수 방지를 위해 자폭장치로 폭파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제주 서남해상에 떨어진 페어링은 군 당국에 의해 회수돼 정밀 분석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광명성 4호는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데 94.1분이 걸리며 하루 4차례 한반도 상공을 비행한다. 군 당국자는 “광명성 4호가 궤도에는 진입했지만 안정적으로 궤도를 유지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suh@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