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이 남쪽의 개성공단 가동 전면 중단에 대응해 11일 인원 추방, 자산 동결 등을 발표하자 정부 당국은 늦은 시간까지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통일부는 남쪽 인원 전원이 이날 밤 9시50분께 무사히 귀환할 때까지 촉각을 곤두세웠다.
북한의 추방 통보는 추방 시한(오후 5시30분)을 40분 남겨둔 이날 오후 4시50분께 전달됐다. 당시 개성공단 입주기업 관계자들은 원부자재와 완제품 등의 반출을 준비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미처 추방 통보를 접하지 못한 이도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개성공단 면적이 여의도의 60% 수준인 330만㎡에 이르고 124개 업체가 입주해 있어 40여분 만에 전원이 철수 준비를 마치기 어렵다고 보고 무사 귀환이 가능할지 우려했다. 더구나 북쪽이 “추방되는 인원은 사품(개인소지품) 외에 다른 물건은 일체 가지고 나갈 수 없다”고 밝혀, 까다로운 소지품 검사에 따른 철수 지연도 염려되는 상황이었다. 실제로 남쪽 인원의 철수는 시한을 넘겨 이날 늦은 시간까지 진행됐다.
앞서 정부는 이날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 정부합동대책반 1차 회의를 열었다. 회의를 주재한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은 “조업 중단으로 인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급한 사안부터 우선적으로 필요한 조치를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부터 가동되는 정부합동대책반에는 통일부·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금융위원회·중소기업청 등 11개 부처가 참여해 소관 분야별로 지원 시스템을 갖추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합동대책반은 현장지원반을 설치해 실시간으로 기업들을 지원하고 기존 대출 상환유예,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의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