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지난 10일 청와대 접견실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기다리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이자 ‘특사’ 자격으로 방남한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11일 밤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일행과 함께 2박3일간의 평창겨울올림픽 방문 일정을 마치고 북으로 돌아갔다.
김 부부장의 방문은 ‘한국전쟁 이후 김일성 일가의 첫 방남’이라는 점 때문에 방남 계획이 알려진 직후부터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그는 지난 9일 인천공항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이후, 공개된 장소에서는 말을 아끼는 모습이었다. 대신 대외적으로 환하게 웃는 얼굴을 자주 보여 밝고 긍정적이라는 인상을 줬다. 또 화장기가 별로 없는 얼굴에, 검은색·회색·흰색 등 무채색 계통의 원피스와 재킷, 스커트, 바지 등을 차려입는 등 단정하고 수수한 모습이었다.
그러나 김 부부장의 행보에선 정권 실세의 권위도 엿보였다. 그는 함께 방남한 최휘 국가체육지도위원장과 같은 노동당 정치국 후보위원이다. 방남 기간 동안 김영남 상임위원장에게는 상석을 양보하거나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그 외 다른 인사들에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 명목상 국가수반이며 이번 고위급대표단의 공식 단장인 김 상임위원장을 제치고 김 부부장이 ‘특사’로서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문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도 그의 위상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방남 첫날 평창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한 김 부부장 일행은 이튿날인 10일 청와대를 방문해 문재인 대통령을 접견하고 오찬을 함께 했다. 그는 문 대통령과는 적극적으로 대화에 임했다. 그는 문 대통령에게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하면서 “빠른 시일 내에 평양에서 뵈었으면 좋겠다”, “문 대통령께서 통일의 새 장을 여는 주역이 되셔서 후세에 길이 남을 자취를 세우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평창올림픽 개막식 소감을 묻자 “다 마음에 든다. 특히 우리 단일팀이 등장할 때가 좋았다”고 화답했다. 또 “이렇게 가까운 거리인데 오기가 힘드니 안타깝다”며 “북남 수뇌부의 의지가 있다면 분단 세월이 아쉽지만 빨리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 부부장은 이후 행사에서는 또다시 ‘신중한’ 모습을 이어갔다. 10일 저녁 강릉 스카이베이 경포호텔에서 열린 조명균 통일부 장관 주재 만찬에선 최문순 강원지사가 방문 소감을 묻자 “서울은 처음이지만 낯설지가 않다”고 했을 뿐이라고 한다. 11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주재한 오찬 행사에서도 거의 말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김 부부장 일행은 이날 저녁 7시 문 대통령 부부와 함께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삼지연관현악단의 공연을 관람하며 사흘간의 방남 일정을 마무리했다. 김 부부장이 문 대통령 바로 옆자리에서 공연 내용을 설명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공연이 끝난 뒤 김 부부장은 김정숙 여사에게 “늘 건강하세요. 문 대통령과 꼭 평양을 찾아오세요”라고 작별 인사를 했다.
김 부부장은 공연 직전에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주재한 환송만찬에 참석했다. 임 실장이 건배사를 요청하자 김 부부장은 수줍은 표정으로 “제가 원래 말을 잘 못합니다. 솔직히 이렇게 갑자기 오게 되리라 생각 못했고 생소하고 많이 다를 거라 생각했는데 비슷하고 같은 것도 많더라”라며 “하나되는 그날을 앞당겨 평양에서 반가운 분들 다시 만나길 바란다”고 건배사를 했다.
김 부부장은 2박3일 동안 문 대통령과 4차례 만났다. 9일 평창올림픽 개막식에서의 첫인사, 10일 청와대 접견·오찬,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경기 관람, 11일 삼지연관현악단 서울 공연 관람 등이다. 김 부부장은 문 대통령의 환송을 받으며 인천국제공항으로 이동해 전용기 ‘참매 2호’를 이용해 북으로 돌아갔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이 인천공항에서 이들을 배웅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노지원 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