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언젠가 이뤄질 남북 공동조사를 대비해 한강과 임진강 하루 우리쪽 지역 습지에 대한 생태 조사를 벌인다.
통일부·환경부·국립생태원은 1일 자료를 내어 2일부터 10개월 동안 한강과 임진강의 우리 쪽 하천구역인 보구곶~한강상류부 일대 4개 구역(총 조사면적 80㎢)을 대상으로 습지 생태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실제 조사를 담당할 국립생태원은 “한강하구는 자연적으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열린 하구로 장기간 인간의 간섭 없이 보존돼 생물다양성이 뛰어난 하천-해양 생태구간으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며 “과거 부분적으로 이뤄진 조사에 따르면, 이곳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저어새·수원청개구리, 2급인 개리·꼬마잠자리·노랑부리저어새·뜸부기·물방개 등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남북은 지난 2018년 ‘9·19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라 정전협정 이후 65년 만에 그해 11월5일부터 35일 동안 남북 수로 전문가 각 10명이 함께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 총 660㎞에 대한 공동수로조사를 벌인 바 있다. 통일부는 “향후 남북 공동의 추가조사를 대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이번 조사를 실시하게 됐다. 이 조사를 한강하구 일대 생태계 보전과 남북의 평화적 공동이용으로 나가가는 계기로 삼기 위해 지속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