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4일 오전 제7차 아셈 정상회의가 열린 중국 베이징에서 일본의 아소 다로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내년 상반기까지…금융위기 공동대응 합의
한·중·일+아세안 “800억달러 기금 조성”
한·중·일+아세안 “800억달러 기금 조성”
한국, 일본, 중국과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 소속 10개국 정상들은 24일 중국 베이징에서 ‘아세안+3’ 비공식 조찬회의를 열고, 800억 달러 규모의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 다자화 공동기금’을 내년 상반기까지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한·중·일과 아세안 국가들은 지난 5월 800억달러 규모의 역내 공동기금을 조성하기로 하고, 한·중·일이 기금의 80%를, 아세안 국가들이 20%를 분담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회의에서는 또 역내 금융위기 대응과 정책공조 강화 등을 위해 △양자간 통화스와프 확대 △아시아 자본 채권시장(ABMI) 육성 △역내 경제감시 강화를 위한 별도 기구 설립 추진 등에 의견을 모으고, 12월 정상회담 일정도 재확인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어 아소 다로 일본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열어 독도 사태로 중단된 한-일 정상간 셔틀외교 복원에 합의했다. 두 정상은 또 12월 중순께 일본 후쿠오카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을 열기로 의견을 모았으며,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공동기금’ 조성에도 한-일 협력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회담에서 아소 총리의 방한을 요청했으며, 아소 총리는 이르면 연내 방한할 뜻을 보였다. 이날 회담에서는 독도나 과거사 문제 등 두 나라간 정치적 현안에 대해선 언급이 없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당면한 금융위기 국제공조가 주요 내용이었기 때문에 정치적인 부분에 대해선 논의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이날 아셈 1차 본회의와 업무 만찬에 참석해 “국제금융체제 개편과정에서 선진국 위주의 체제에 신흥국도 포함시켜야 한다”며 “금융위기를 틈탄 보호주의 강화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이날 베트남, 덴마크, 폴란드 정상들과도 연쇄 회담을 하고 국제금융위기 극복 방안 등을 논의했다.
베이징/권태호 기자 h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