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일 오전 청와대에서 한일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대통령 “평화 해결” 원칙론 강조
아베, 회담 뒤 후지TV 출연
“남중국해 미 행동은 국제법 근거”
산케이 기자·후쿠시마 수산물 등
취재진에 ‘민감 주제’ 언급 밝혀
아베, 회담 뒤 후지TV 출연
“남중국해 미 행동은 국제법 근거”
산케이 기자·후쿠시마 수산물 등
취재진에 ‘민감 주제’ 언급 밝혀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일 이번 정상회담에서 “일본이 주장할 만한 것은 말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그는 위안부 문제뿐 아니라 남중국해,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 기소 문제 등 민감한 주제들을 대부분 거론하며 박근혜 대통령을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이날 저녁 8시 <비에스(BS)후지> 방송에 출연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간 논의사항에 대해 질문을 받고 “현실적으로 이것(위안부 문제)이 일-한 간의 장애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 인식은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가 한-일 관계 발전을 가로막는 장애라고 인정하면서 사실상의 추가 조처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베 총리는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도 “열려 있고 자유로운 바다를 지키도록 한국이나 미국과 연대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한·미·일이 남중국해 문제에 공동 대응하자는 것으로, 중국을 의식해야 하는 한국으로서는 곤혹스러운 ‘제안’이다. 아베 총리는 <비에스후지>와 한 인터뷰에서는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대응에 관한 질문을 받고 “이는 한국의 외교안보 정책이기 때문에 내가 말할 입장이 아니다. 다만 일본의 입장은, 미국의 행동은 국제법에 따른 행동이라고 생각한다”고만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아베 총리의 남중국해 문제 언급 사실을 확인하며 박 대통령이 우리 정부의 원칙적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남중국해 지역은 우리 수출 물동량의 30%, 수입 에너지의 90%가 통과하는 중요한 해상교통로로서 우리의 이해관계가 큰 지역”이라며 “이 지역에서 항행과 상공 비행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이어 “분쟁은 관련 합의와 국제적으로 확립된 규범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하며, 남중국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자제할 것을 국제회의 등 여러 계기를 통해 촉구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또 아베 총리는 지난해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의 행적에 의혹을 제기한 가토 다쓰야 전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에 대한 한국 검찰의 기소 문제나 일본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한 후쿠시마 주변 지역의 수산물 수입 금지 문제 등 양국간 다른 현안에 대해서도 한국에 일본의 입장을 분명히 전했음을 내비쳤다. 그는 “개별적인 안건에 대해선 말하지 않겠지만 이번이 첫 회담이니까 ‘양국간에 해결해야 할 현안이 있다. 이에 대응해주길 바란다’고 솔직히 주장할 점에 대해서는 서로 주장했다”고 밝혔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김외현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