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015년 11월2일 청와대에서 아베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일 언론 “한-일 위안부 합의뒤
관계 부처에 비판 피하도록 해”
관계 부처에 비판 피하도록 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지난 12·28 정부간 합의 이후 한국 정부가 일본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 때문이라는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보도의 진위와는 별개로 한국 정부가 지난 합의의 정신을 대놓고 훼손하는 일본의 언동에 대한 비난을 자제해 온 것은 사실이다.
<요미우리신문>은 지난 3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후속 보도에서 ‘관계자’를 인용해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2·28) 일-한 합의 이후 ‘위안부 문제에 대해 일본 비판을 피하도록’ 관계부처에 지시”했다고 2일 보도했다. 신문은 그러나 이 ‘관계자’가 한·일 어느 쪽 인사인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마이니치신문>도 지난 (12·28) 합의 이후 “(한국이 대일 비판에) 억제적인 태도를 이어오고 있다. 일본 외무성 간부도 ‘정상(박 대통령을 지칭)이 합의를 지킨다는 의사를 분명히 하는’ 점을 평가하고 있다”는 분위기를 전했다.
한-일 두 나라는 12·28 합의를 통해 “향후 유엔(UN) 등 국제사회에서 이 문제에 대해 상호 비난·비판하는 것을 자제한다”고 합의했지만, 일본은 지난 2월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일본 외무성의 ‘넘버 3’인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심의관을 파견해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다”, “강제연행의 증거는 찾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등의 ‘여론전’을 재개한 바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당시 예를 들어가며 “(일본의 이런 행동이 있었는데도) 한국 정부는 일본에 대한 강한 비판을 자제하고, 합의를 준수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고 설명했다.
워싱턴에서 열린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선 “양국 정상이 ‘합의를 이행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을 뿐 재단 설립이나 일본 대사관 앞 평화비(소녀상) 철거 등 세부적인 문제까진 논의하지 않았다”고 일본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일본이 희망하는 소녀상 철거 등의 문제를 언급하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진전은 없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한일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한국 정부가 (국내 분위기상) ‘위안부 협상 합의 이행’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만드는 (일본 정치인들의 쓸데없는 망언 등) 일본 쪽이 원인제공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제언하기도 했다. 일본의 모든 언론이 한 덩어리가 돼 위안부 합의 이행 쪽으로 여론을 형성해 가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