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니치신문’ 인터뷰서 “한달 연기”
“정대협 등 시민단체 참여필요” 밝혀
위안부 생존자 42명 설득작업 강조
“정대협 등 시민단체 참여필요” 밝혀
위안부 생존자 42명 설득작업 강조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 정부간 12·28 합의 이행을 위한 ‘재단 설립 준비위원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이 “7월 중하순께 재단 설립이 이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유 장관은 8일치 일본 <마이니치신문> 인터뷰에서 재단 설립 일정이 애초 한국 정부가 예상한 6월 중순께에서 한달 정도 늦춰질 것 같다는 견해를 밝힌 뒤, 향후 재단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시민단체도 끌어들이는 게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동안 유 장관 등 설립 준비위 쪽에선 재단 설립에 비판적인 한국 언론보다는 일본 언론을 통해 자신들의 계획을 설명해 왔다.
이번 인터뷰에서 유 전 장관이 강조한 것은 현재 생존해 있는 42명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설득 작업이었다. 그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재단에 적어도 3분의 2 이상 참가한다면 (재단 설립을 강경하게 반대해 온) 정대협 등 시민단체들과 재단 사이의 절충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 전 장관은 구체적으로 “최대 15명” 정도로 구성될 것으로 보이는 재단 이사회 가운데 “5명 정도를 (정대협 등) 시민단체로부터 파견받는 게 좋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결국 한명이라도 더 많은 할머니들을 재단에 흡수해 정대협 등을 고립시킨 뒤, 최종적으로는 재단이 반대 시민단체까지 흡수한 상태에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 전 장관은 준비위와 재단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 본인과 가족의 지원 요구를 다시 한번 조사해 이를 반영한 세심한 지원책을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한편, 일본이 집착하고 있는 주한 일본대사관 앞의 평화의 비(소녀상)에 대해선 “한국 정부도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한국 정부에게 맡겨두는 게 제일 좋다”는 견해를 밝혔다. ‘소녀상 철거’ 여부를 한국 정부가 어떻게 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히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