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협정 체결 65주년을 맞은 27일 한국전쟁 중 북쪽에서 사망한 미군의 유해가 북한 원산 갈마비행장에서 경기도 평택시 주한미공군 오산기지로 송환되고 있다. 미국쪽은 재차 유해 확인 절차를 밟은 뒤 내달 1일 오산기지에서 공식 유해송환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평택/사진공동취재단
미군 수송기가 27일 오전 북한 원산에 들어가 한국전쟁 당시 숨진 미군 유해 55구를 싣고 경기도 평택시 오산 공군기지로 돌아왔다. 북한의 미군 유해 송환은 2007년 이래 11년 만이다. 미군 유해 송환은 6·12 북-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합의 사항이다.
이날 새벽 5시55분 오산 공군기지에서 북쪽 원산으로 출발한 미군 글로브마스터 수송기(C-17)가 유해 55구를 싣고 오전 11시 오산으로 돌아왔다. 남쪽 영공에서는 미군 F-16 전투기 2대가 수송기를 호위했다. 수송기에는 유엔사령부 관계자들과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디피에이에이) 관계자들이 탑승했다. 유엔사는 “오늘 주한미군의 지원하에 55개의 유해관을 북한으로부터 받았다”고 확인했다.
65년 만에 귀환길에 오른 미군 유해 55구는 유엔사 깃발을 두른 작은 나무상자에 담겨 첫 기착지인 오산 공군기지에 모습을 드러냈다. 의장대가 도열한 가운데 쉰다섯명의 군인이 수송기에서 상자를 안고 내려 대기하던 차량 6대에 나눠 실었다.
유엔사는 공식 유해 송환 행사를 8월1일 오후 5시에 개최한다고 밝혔다. 행사 직후 유해는 하와이에 있는 디피에이에이로 옮겨진다. 유전자 검사 등 본격적인 신원 확인 작업은 여러 달이 걸릴 전망이다.
한국전쟁 때 실종된 미군은 7699명이고, 이 가운데 5300여명이 휴전선 이북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북한은 1953년 정전협정에 따라 이듬해인 1954년 3000구가 넘는 미군 추정 유해를 송환한 바 있다. 미국 국방부는 당시 1800여구에 이르는 미군 유해를 확인했다. 이후 북한은 1990~1994년 미국에 미군 유해 208구를 전달했다. 북·미는 1996년부터 2005년까지 북한에서 33차례의 공동조사를 벌여 229구를 송환했다. 2007년 빌 리처드슨 당시 뉴멕시코 주지사가 평양에서 유해 6구를 인계한 뒤 지금껏 유해 송환은 이뤄지지 않았다.
오산/외교부 공동취재단,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