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후 충북 청주시 서원구 시제이비(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경선 행사 ‘국민면접’에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예비경선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이재명 후보에 대한 다른 주자들의 공세가 거세지는 만큼 추미애 후보의 ‘이재명 엄호’에도 눈길이 쏠리고 있다. 이재명·추미애 두 후보의 이름을 따 ‘명추 연대’, ‘재미 연대’라는 얘기가 나오고, 두 주자가 향후 실제 연대를 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까지 제기된다.
추 후보 쪽은 이재명 후보와의 단일화 등 연대 가능성은 일축하면서 경선 이후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의도적인 이재명 돕기’가 아니라고 설명한다. 추 후보 쪽 관계자는 “1등 때리기 전략은 인정할 수 있지만 수위를 넘는 공격은 안 된다는 게 추 후보 판단”이라고 전했다. 2017년 민주당 대표로 대선을 직접 관리한 경험에 비춰볼 때, 예비경선부터 같은 당 주자들이 ‘선 넘는’ 공방을 벌이면 본선까지 갈등이 이어지고, 결국 정권 재창출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추 후보가 미리 ‘균형추’ 구실을 자처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추 후보가 ‘반이재명 연대’에 나선 다른 후보들과의 차별화 전략을 선택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일부 강성 친문 지지층이 이재명 후보에 대해 정서적 거부감을 갖고 있는 데 반해, 추 후보는 오히려 강성 친문 지지층의 지지를 받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이 때문에 경선과 대선 이후 자신의 정치적 역할까지 염두에 둔 행보라는 분석도 있다.
추 후보의 이재명 엄호는 이 후보와 정책적 유사성에 기인한 측면도 있다. 추 후보가 주장하는 지대개혁과 이 후보가 내놓았던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제도는 두 사람의 공감대를 넓히는 ‘연결고리’다. 추 후보는 5일 토론에서 이재명 후보에게 “국토보유세도 함께 주장하셔서 (기본소득) 재원 대책에 대한 (우려를) 깔끔하게 털어버리시라”고 조언했다.
일각에선 지난해 ‘추-윤 갈등’ 국면, 특히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 효력을 법원이 정지시키며 추 후보가 수세에 몰렸을 때 민주당 대표였던 이낙연 후보와 총리였던 정세균 후보가 자신을 적극 지원하지 않은 점 등을 볼 때 개혁성이 의심스럽다고 판단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추 후보 쪽 관계자도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는 순위·지지율과 관계없이 경쟁 대상이 아니다. 이분들은 결정적 시기마다 당을 개혁에서 후퇴시킨 사람들”이라며 “이 지사의 개혁과 추미애의 개혁을 경쟁시켜야 당이 흥행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