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에서 정책간담회를 하기 전 김동명 위원장에게 한국노총 대선요구안 책자를 전달받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5일 한국노총을 방문해 교원·공무원 노동조합의 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 도입과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에 찬성한다는 뜻을 밝혔다. 윤 후보가 ‘왜곡된 노동관’을 보인다는 비판을 의식해 노동계에 전향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국민의힘은 “당내 의견을 모아봐야 한다”며 유보적인 반응을 보였다.
윤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본부를 방문해 김동명 위원장 등 지도부와 만나 교원·공무원노조 타임오프제도와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에 대해 “찬성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김병민 국민의힘 선대위 대변인이 전했다.
윤 후보는 간담회에서 “교원·공무원 노조에 타임오프를 지원할 때가 됐다”면서도 “공적 영역(공공 부문)에 있는 인사들의 경우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일부 조정도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조정 필요성’도 열어둔 것이다. 노동이사제에 대해 김 대변인은 “당에서도 어렵다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이 내용에 대해서도 윤석열 후보 뿐만 아니라 당에서도 받아들이기로 했다”며 “윤 후보가 ‘노사간 동반자란 인식이 중요하다고 했고, 노동이사제가 공공기관 합리화 부실방지에도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에 대해 윤 후보는 “실태를 잘 파악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일이 중요하기 때문에 더 많은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며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이 12월 임시국회에서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확대 △교원·공무원 노조 타임오프제 도입 △사업이전시 고용승계법 △근로자대표제 민주화법을 통과시키겠다고 했고 당장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법안심사소위가 열리지만 관련 논의에 속도가 붙을 것 같진 않다. 국민의힘 원내대표실 쪽은 “(노동이사 제도 등은) 경영계 쪽의 반발도 있는 사안이어서 당장 하기는 무리이고, 원내 의견을 모아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박태우 임재우 기자
ehot@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