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문재인 정부의 ‘중국 편향 정책’ 때문에 한·중 국민들의 관계가 나빠졌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윤 후보의 망언이 국내를 넘어 국경을 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주한미상공회의소 간담회에서 ‘한국이 미·중 사이에서 어떤 입장이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한국 국민, 청년들 대부분은 중국을 싫어한다. 중국 청년 대부분이 한국을 싫어하는데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다”며 “서로가 굉장히 호감을 가지고 사업이나 문화협력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내고 호의적이었는데 현 정부에 들어서 중국 편향 정책을 들고 미-중 중간자 역할을 한다고 했지만 결과는 안좋게 끝났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어떤 정책이 중국에 편향적이었으며, 그 정책이 어떤 이유로 한국과 중국 국민들의 사이를 멀어지게 했는지 구체적인 설명은 없었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이 서로 협력하고 지역 안보를 위해 협력해주는 게 중요하다’는 지적엔 “한일 관계의 경우, 관계가 나빠질 정도가 아니고 ‘관계가 없다’고 할 정도”라며 “이 정부가 역사와 이념을 갖고 과도하게 폭파시켰다고 봐야 할 정도로 도대체 있을 수 없는 태도를 취해오다보니 여기까지 왔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날도 1998년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강조한 그는 “국교정상화 이후에 한일관계가 계속 괜찮았다"며 "과거에 했던 대로만 해도 한일관계가 어렵지 않게 정상화 될 수 있으리라 본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중국 혐오에 가까운 윤 후보의 발언이 강대국에 둘러싸인 우리의 지정학적 위치를 망각한 ‘외교적 망언’이라고 비판했다. 강선아 선거대책위 대변인은 “미·중 경쟁은 날이 갈수록 첨예화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지도자라면 정교하고 정밀한 발언으로 굳건한 한미동맹은 물론 중국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해야 할 역량이 필수적”이라며 “안보와 경제, 기후 문제 등에 있어 중요한 상대국인 중국과의 관계를 말 한마디로 이처럼 쉽게 부정해버리는 윤 후보가 어떻게 대한민국의 외교를 감당할 수 있겠냐”고 비판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문재인 정부의 대중 굴종 외교가 국민의 반중 정서를 초래했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장영일 상근부대변인은 논평을 내어 “문재인 정부의 당당하지 못한 대중 정책이 결국 한중 관계의 악화와 양국 국민들 특히 청년 세대들의 정서적 갈등 심화로 이어지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라며 “원인은 문 정부의 외교 실패에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윤 후보는 ‘한국의 상속세율이 높다’는 주한 미국 기업인의 지적에 법인세 감세를 거론하며 “미국인이 여기 와서 경제 활동하다가 돌아가시면 미 세무당국과 협의해서 적은 쪽으로 세금 낼 수 있도록 대통령이 되면 조치하겠다”고 답했다. 윤 후보는 또 ‘한국은 노동유연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도 “그동안 강성노조가 노동시장을 지배했지만 (4차 산업혁명 등의) 큰 파고를 피해가기 어렵다”며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위한 제도적인 변화가 이제 제대로 이뤄질 수 있지 않겠나. 노조 대타협을 통해서 큰 변화를 만들어 낼 생각”이라고 답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