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24일 서울 종로 통의동 인수위에서 열린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을 마친 뒤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24일 ‘법무부 장관의 검찰 수사지휘권 폐지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낸 법무부에 ‘업무보고 연기’로 응수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동 조율 과정에서도 청구서를 먼저 내민 뒤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만남을 거부하는 식의 비타협적 행보가 이어지고 있다.
윤 당선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검찰 중립을 위해 수사지휘권이 필요하다”는 박범계 법무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박범계) 장관 기자간담회 쳐다볼 시간이 없다”면서도 “이 정부에서 검찰개혁이라는 것이 검찰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한 것이다. 5년간 해놓고 그게 안 됐다는 자평인가”라고 되물었다. 윤 당선자의 지시로 인수위 앞에 ‘천막 기자실’이 설치됐고 윤 당선자는 전날에 이어 이날도 약식 간담회를 자청했지만 그의 오늘 메시지는 후임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를 지명한 문 대통령을 비판하고 수사지휘권 폐지에 반발한 박범계 장관을 공격한 것이었다.
주요 현안에 대한 윤 당선자의 작심 발언은 검사 시절 ‘정면돌파’를 통해 대통령까지 쟁취한 성공의 경험 등 윤 당선자의 평소 스타일이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과의 회동을 준비하면서도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과 인사 협의를 요구하면서 문 대통령을 압박했다. 대화와 타협을 통한 협치 노력보다는, 상대를 압박해 굴복시키겠다는 태도인 셈이다. 특히 자신의 전문 분야인 검찰 관련 사안이 나올 때는 발언의 수위가 더 높아진다. 여론전에 직접 뛰어들어 지지층을 직접 설득하려는 전략이다.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특임교수는 “당선자가 아직도 검찰총장 시절 현직 대통령과 줄다리기 대결을 벌이던 그 때에 머물고 있는 것 같다”며 “이제는 적당히 타협하고 주고받기 하는 정치도 배워야 한다. 강대 강 대결 구도의 정치는 국민들만 불안하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내에서도 윤 당선자의 거친 스타일 탓에 취임하기 전부터 ‘미래 야권’과 반목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소수파 정권’으로서 공약 이행에 강한 의지를 나타내고 거대야당의 발목잡기를 부각하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지만, 강경 일변도의 충돌은 안정적인 국정 운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이다. 국민의힘의 한 의원은 <한겨레>에 “윤 당선자의 드라이브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정면돌파를 통해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로 보인다”면서도 “정치는 무조건 강경하게만 해서는 해결이 안되는데, 후보 시절 강조했던 협치와 통합의 정치는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 구 권력보다 신 권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