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문재인 정부에서 도입한 공공 연구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전면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머리발언을 통해 “최근 몇 년 동안 우수 연구자 확보를 가로막았던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은 연구기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전면 폐지하겠다”고 말했다. 블라인드 채용은 전 정부에서 공정 채용을 목적으로, 지원자의 출신 지역과 학력, 연구 성과 등을 채용과정에 노출하지 않도록 한 제도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블라인드 채용이) 최근 몇 년 동안 우수 연구자 확보를 가로막았다”며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은 연구기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전면 폐지하겠다. 위원회에서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발전전략과 함께 고민해 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대통령실은 관계 부처와 협의해 블라인드 채용 관련 지침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임정부에서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하면서 국책연구기관까지 일괄 적용했다. 연구자의 배경을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정보를 알지 못한 채 선발해온 것”이라며 “기획재정부·과학기술부·고용노동부가 협의해 관련지침을 바꿀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회의 비공개 발언에서 “과학기술발전을 가로막는 어떠한 규제도 정치적 이유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다만 블라인드 채용 폐지가 ‘공정 채용’이라는 제도의 목적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겨레>에 “연구기관이 지도교수나 연구실적 등을 채용과정에서 알 수 없는 상황이라 우수한 인력을 뽑는 데 문제가 됐다”며 “공정성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학력보다는 연구성과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과학기술이 국가경쟁력 핵심이니까 우수인재들을 개발해 국가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맥락”이라며 “공정성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2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기술 등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국가전략기술 분야 연구개발에 향후 5년 동안 25조원 이상을 투자해 초일류·초격차 기술을 확보하고 민관 합동으로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를 추진해 확실한 성과를 창출해 갈 것”이라며 “국가전략기술 육성 특별법 제정 등 지속가능한 추진체계를 법제화하고, 미래를 위한 준비에 정부 역량을 집중시키겠다”고 말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