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바이오헬스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키워야 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 회의’를 주재하며 “바이오헬스 분야의 세계 시장 규모는 약 2600조원에 달하고 성장 잠재력이 크다”며 이렇게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국민 건강을 지키고 동시에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핵심 전략 사업으로 키워나가기 위해 역량을 모으고 지원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벤처와 청년들이 이 분야에 도전하고 이를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추진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미국 보스턴에는 화이자와 노바티스 등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연구소와 이를 지원하는 법률회사와 회계법인, 컨설팅사, 금융투자 회사가 모여 거대한 바이오 산업 시장이 구축돼있다.
아울러 “의료·건강·돌봄 서비스 등을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데이터 활용’ 관련 제도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바이오헬스 산업의 성장은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정부는 데이터 활용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데이터와 관련된 제도를 개선하고 정비해야 된다”고 밝혔다. 특히 국회를 향해 “민감한 개인정보를 가명정보화, 비식별화해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국회에 계류된 ‘디지털헬스케어법’의 조속한 처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바이오헬스의 미래 전망과 현 상황 및 문제점 그리고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을 보고받았다고 한다. 대통령실은 이날 △의료·건강 돌봄 서비스 혁신 △바이오헬스 수출 활성화 △첨단 융복합 기술 연구개발 강화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및 창업 지원 강화 △법·제도 인프라 구축 등 신시장 창출 전략을 공개하기도 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