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현지시각)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국빈만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애창곡 ‘아메리칸 파이’를 열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의 강철 같은 동맹을 위하여.”
미국을 국빈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각)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도 건배사를 통해 한-미 동맹을 강조하는 행보를 이어갔다.
윤 대통령 부부는 이날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주최한 만찬에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검은색 정장 차림에 나비넥타이를 착용했고, 김건희 여사는 흰색 치마 정장 차림이었다. 윤 대통령 부부는 백악관 북현관에서 미리 기다리고 있던 바이든 대통령 부부와 함께 담소를 나누며 건물 안으로 이동했다. 두 정상 부부는 백악관 응접실 격인 블루룸의 대계단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뒤 만찬장으로 이동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만찬장에서 건배사로 “우리 파트너십을 위해, 우리 국민을 위해, 가능성을 위해”라고 외친 뒤 “한국과 미국이 함께 만들어갈 미래를 위해 우리가 그것을 향후 170년 동안 함께하길”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각)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돈 매클레인의 ‘아메리칸 파이’를 부르자 조 바이든 대통령과 배우 겸 가수 놈 루이스, 레아 살롱가, 제시카 보스크 등이 환호하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답사로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참석자들을 향해 “오늘 성대한 만찬장에 함께하는 여러분들이야말로 역사상 가장 훌륭한 동맹이라 평가받는 한-미 동맹의 든든한 주주이자 후원자”라며 “오늘 바이든 대통령과 저는 한-미 동맹 70주년을 함께 축하하고 미래 협력 방안에 관해 깊이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며 “한-미 동맹에 대한 신뢰와 협력 의지가 강철 같다는 점을 재차 확인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 동맹을 네잎클로버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우정은 네잎클로버 같아서 찾기는 어렵지만 일단 갖게 되면 행운이라는 속담이 있다”며 “오늘은 한-미 동맹이라는 네잎클로버가 지난 70년의 영광을 넘어 새로운 뿌리를 뻗어나가는 역사적인 날로 기억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한 “한국이 이뤄온 유례없는 경제성장과 역동적인 민주주의 바탕에는 항상 한-미 동맹이 있었다”며 “미래로 힘차게 전진하는 한-미 동맹을 위해 건배를 제의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은 함께 잔을 부딪쳤다.
윤 대통령은 이후 비공개로 진행된 만찬에서 바이든 대통령에게 미국 팝 작곡가 돈 매클레인의 친필 사인이 담긴 통기타를 선물받았다. 윤 대통령이 평소 돈 매클레인의 노래 ‘아메리칸 파이’ ‘빈센트’ 등을 즐겨 듣고 부른다는 점에 착안한 깜짝 선물이었다. 이에 내빈들이 노래를 요청하자, 윤 대통령은 애창곡인 ‘아메리칸 파이’를 1분여 불러 화답했다. 노래가 끝나자, 내빈들은 기립 박수를 보냈다.
한편 김건희 여사는 이날 오후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 억류 뒤 사망한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어머니를 만나 “아드님의 소식은 저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 모두에게 큰 충격이었다”며 위로를 건넸다. 김 여사는 질 바이든 여사와 함께 내셔널갤러리를 찾아 마크 로스코 전시를 관람하기도 했다.
워싱턴/김미나 기자, 배지현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