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캠프-국정원 ‘정치개입’ 진실공방
“당시 국정원 상부서 조사 중단시켜
…첩보보고서 있을 수 있을 것” 분석도 국가정보원 직원이 정부 전산망에서 이명박 한나라당 경선후보의 부동산 거래 내역을 열람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정원의 정치개입 문제가 다시 초점이 되고 있다. 이명박 후보 쪽은 국정원이 ‘이명박 죽이기’를 시도했던 정황이라며 강력 비판했고, 국정원은 “정상적인 업무수행 과정”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명박 후보 쪽은 13일 국정원이 2005년 ‘이명박 태스크포스(TF)’를 가동시킨 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 쪽 박형준 대변인은 기자회견을 열어 “2005년 3월 국정원이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을 음해하기 위한 ‘이명박 태스크포스’을 구성해 활동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 조직은 박아무개씨를 팀장으로 국정원 국내담당 부서 요원 4~5명으로 구성됐고, 이 팀 소속의 ㄱ씨가 이 후보 관련 부동산 자료를 열람했다”고 말했다. 당시는 김승규 전 국정원장 재직 시절이고, 국내를 담당한 2차장은 여당 실세와 친인척 관계인 ㅇ씨(이상업 전 차장)였다고 박 대변인은 덧붙였다. 이 팀의 주요 임무는 △청계천 복원 관련 비리정보 수집 △이 후보 친인척의 부동산 거래내역 조사 등이었다고 한다. 그는 “제보가 사실이라면 국정원이 ‘이명박 죽이기’ 정치공작을 주도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정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직원 ㄱ씨의 이 후보 처남 부동산 자료 열람 사실을 시인하면서도 상부 보고나 외부 유출은 없었다고 부인했다. 국정원은 “직원 ㄱ씨는 2004년 5월부터 부패척결 태스크포스에서, 부동산비리 수집 업무를 담당해 오고 있었다”며 “ㄱ씨가 지난해 4월 ‘서초동 대검 부근에 이명박 서울시장의 처남 또는 측근 명의의 건물이 있는데, 이 건물 명의인의 체납 의료보험료가 이 시장 계좌로부터 이체된 사실이 있다’는 첩보를 확보한 뒤 확인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어 ㄱ씨가 지난해 6월 직속 과장에게 구두보고를 하고, 8월 행정자치부를 통해 처남 김재정씨의 부동산 자료를 열람했다고 한다. 그러나 ㄱ씨는 부동산 차명은닉 등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지 못해 상부로 올리는 보고서는 작성하지 않았고, 자료도 전량폐기했다는 게 국정원의 주장이다. 자체 조사 결과 ㄱ씨의 개인 피시에서 관련 문서를 출력하거나 전자우편으로 보낸 흔적도 없다고 국정원은 밝혔다. 이렇게 이명박 후보 쪽과 국정원의 주장이 전혀 딴판이어서 당분간 공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부동산 자료 열람 시점이 다르다. 이 후보 쪽은 2005년 3월이라고 주장한 반면, 국정원은 지난해 8월 이라고 밝혔다. 1년5개월여의 시차가 있다. 또 이 후보 쪽은 ‘이명박 태스크포스’가 구성됐다고 했지만, 국정원은 문제의 ㄱ씨가 ‘부패척결 태스크포스’ 소속이라고 주장했다. 박형준 대변인은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것은 구두 제보가 아니라 확실한 자료”라고 말해, 무언가 관련 문건을 확보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국정원은 외부 유출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국정원 사정에 밝은 정치권의 한 인사는 “당시 ㄱ씨 등이 이명박 후보 쪽의 부동산 관련 내용을 조사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고 국정원 상부에서 중단시킨 것으로 알고 있다”며 “만일 문건이 있다면, ㄱ씨 등이 조사착수에 들어가기 위해 상부에 보고한 첩보보고서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태희 성연철 기자 hermes@hani.co.kr
…첩보보고서 있을 수 있을 것” 분석도 국가정보원 직원이 정부 전산망에서 이명박 한나라당 경선후보의 부동산 거래 내역을 열람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정원의 정치개입 문제가 다시 초점이 되고 있다. 이명박 후보 쪽은 국정원이 ‘이명박 죽이기’를 시도했던 정황이라며 강력 비판했고, 국정원은 “정상적인 업무수행 과정”이었다고 주장했다. 이명박 후보 쪽은 13일 국정원이 2005년 ‘이명박 태스크포스(TF)’를 가동시킨 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 쪽 박형준 대변인은 기자회견을 열어 “2005년 3월 국정원이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을 음해하기 위한 ‘이명박 태스크포스’을 구성해 활동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 조직은 박아무개씨를 팀장으로 국정원 국내담당 부서 요원 4~5명으로 구성됐고, 이 팀 소속의 ㄱ씨가 이 후보 관련 부동산 자료를 열람했다”고 말했다. 당시는 김승규 전 국정원장 재직 시절이고, 국내를 담당한 2차장은 여당 실세와 친인척 관계인 ㅇ씨(이상업 전 차장)였다고 박 대변인은 덧붙였다. 이 팀의 주요 임무는 △청계천 복원 관련 비리정보 수집 △이 후보 친인척의 부동산 거래내역 조사 등이었다고 한다. 그는 “제보가 사실이라면 국정원이 ‘이명박 죽이기’ 정치공작을 주도했음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정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직원 ㄱ씨의 이 후보 처남 부동산 자료 열람 사실을 시인하면서도 상부 보고나 외부 유출은 없었다고 부인했다. 국정원은 “직원 ㄱ씨는 2004년 5월부터 부패척결 태스크포스에서, 부동산비리 수집 업무를 담당해 오고 있었다”며 “ㄱ씨가 지난해 4월 ‘서초동 대검 부근에 이명박 서울시장의 처남 또는 측근 명의의 건물이 있는데, 이 건물 명의인의 체납 의료보험료가 이 시장 계좌로부터 이체된 사실이 있다’는 첩보를 확보한 뒤 확인작업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어 ㄱ씨가 지난해 6월 직속 과장에게 구두보고를 하고, 8월 행정자치부를 통해 처남 김재정씨의 부동산 자료를 열람했다고 한다. 그러나 ㄱ씨는 부동산 차명은닉 등의 핵심 내용을 확인하지 못해 상부로 올리는 보고서는 작성하지 않았고, 자료도 전량폐기했다는 게 국정원의 주장이다. 자체 조사 결과 ㄱ씨의 개인 피시에서 관련 문서를 출력하거나 전자우편으로 보낸 흔적도 없다고 국정원은 밝혔다. 이렇게 이명박 후보 쪽과 국정원의 주장이 전혀 딴판이어서 당분간 공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부동산 자료 열람 시점이 다르다. 이 후보 쪽은 2005년 3월이라고 주장한 반면, 국정원은 지난해 8월 이라고 밝혔다. 1년5개월여의 시차가 있다. 또 이 후보 쪽은 ‘이명박 태스크포스’가 구성됐다고 했지만, 국정원은 문제의 ㄱ씨가 ‘부패척결 태스크포스’ 소속이라고 주장했다. 박형준 대변인은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것은 구두 제보가 아니라 확실한 자료”라고 말해, 무언가 관련 문건을 확보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국정원은 외부 유출이 전혀 없었다고 주장했다. 국정원 사정에 밝은 정치권의 한 인사는 “당시 ㄱ씨 등이 이명박 후보 쪽의 부동산 관련 내용을 조사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고 국정원 상부에서 중단시킨 것으로 알고 있다”며 “만일 문건이 있다면, ㄱ씨 등이 조사착수에 들어가기 위해 상부에 보고한 첩보보고서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태희 성연철 기자 hermes@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