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한나라당 당선자 쪽이 이르면 2월께 국민주 또는 컨소시엄 형태로 <문화방송>을 민영화할 뜻을 밝혔다. 또, 신문·방송의 겸영을 허용해 신문사가 유선방송 등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병국 한나라당 의원은 27일 국회에서 벌인 인터뷰에서 “2월 임시국회에서 정부조직 개편법을 처리할 때 새 방송법이 함께 통과된다면 문화방송이 지금처럼 (상업방송과 공영방송을 오가는) 어정쩡한 위상으로 계속 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해, 문화방송 조기 민영화 추진 방침을 언급했다. 정 의원은 “문화방송이 공영방송으로서 구실을 하려면 한나라당이 내놓은 국가기간방송법의 통제를 받으면 되고, 그렇지 않다면 지분을 국민주화한다든지, 재벌 대기업들을 뺀 기업들의 컨소시엄에 넘겨 민영화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홍보기획본부장인 정 의원은 이명박 당선자의 선거대책위원회 미디어 홍보단장을 맡았던 만큼 새 정부 언론정책에 대한 영향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정 의원은 또 “세계적인 추세”라며 신문·방송의 겸영도 적극 허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언론의 독과점 문제가 나올 수 있으나 공정거래법처럼 제도적인 보완을 해 이를 막으면 된다”고 말했다. 겸영의 범위에 관해선 “신문사가 지상파 방송을 겸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뿐 아니라 그렇게 돼선 안 되며, 대신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IPTV)이나 케이블 텔레비전의 보도 채널 정도는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성제 문화방송 노조위원장은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이 문화방송을 전리품으로 착각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관련기사]
▶ ‘신문·방송 겸영’ 추진에 거대신문사 여론독점 우려
▶ [이명박의 사람들] ‘보수 색깔’ 막강 진용…미디어정책 전환 예고
▶ [사설] 이 당선자는 민심을 정확하게 읽어야 한다
▶ ‘신문·방송 겸영’ 추진에 거대신문사 여론독점 우려
▶ [이명박의 사람들] ‘보수 색깔’ 막강 진용…미디어정책 전환 예고
▶ [사설] 이 당선자는 민심을 정확하게 읽어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